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병원446

서귀포시 추석연휴 병원약국(소아과) 찾기 추석 연휴 병원약국(소아과) 운영현황입니다.이번 추석명절 연휴기간(2024. 9 . 14.(토) ~ 2024. 9. 18.(수) 환자의 진료공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병원, 의원, 약국 운영 현황입니다. 또한 추석 연휴 응급진료가 필요한 분은 하단의 응급실 운영현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명절은 아프면 손해라는 말이 있습니다. 혹시라도 병원에 갈 일이 있다면, 다음 병원 명단을 확인하세요. 추석 진료 받을 수 있는 병원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의료원소재지: 서귀포시 장수로 47(동홍동)전화번호: 064-730-31519.14.(토): 00:00~24:00(응급)9.15.(일): 00:00~24:00(응급)9.16.(월): 00:00~24:00(응급)9.17.(화): 00:00~24:00(응급)9.18.(수).. 2024. 9. 10.
제주시 추석연휴 병원약국(소아과) 찾기 추석 연휴 병원약국(소아과) 운영현황입니다.제주시 이번 추석명절 연휴기간(2024. 9 . 14.(토) ~ 2024. 9. 18.(수) 환자의 진료공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병원, 의원, 약국 운영 현황입니다. 또한 추석 연휴 응급진료가 필요한 분은 하단의 응급실 운영현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명절은 아프면 손해라는 말이 있습니다. 혹시라도 병원에 갈 일이 있다면, 다음 병원 명단을 확인하세요. 추석 진료 받을 수 있는 병원제주보건소전문과목: 내과,소아과소재지:  제주시 연삼로 264전화번호: 064-728-40119.14: 09:00~18:009.15: 09:00~18:009.16: 09:00~18:009.17: 09:00~18:009.18: 09:00~18:00--------------------.. 2024. 9. 10.
원주 추석연휴 병원약국(소아과) 찾기 추석 연휴 병원약국(소아과) 운영현황입니다.이번 추석명절 연휴기간(2024. 9 . 14.(토) ~ 2024. 9. 18.(수) 환자의 진료공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병원, 의원, 약국 운영 현황입니다. 또한 추석 연휴 응급진료가 필요한 분은 하단의 응급실 운영현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명절은 아프면 손해라는 말이 있습니다. 혹시라도 병원에 갈 일이 있다면, 다음 병원 명단을 확인하세요. 추석 진료 받을 수 있는 병원황둔보건진료소분류: 공공보건의료기관대표전화: 033-737-4527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신림면 신림황둔로 12132024-09-14(토): 09:00~18:00--------------------------------------------------판대보건진료소분류: 공공보건의료기.. 2024. 9. 10.
강원도 동물보호 현황(농장, 병원, 보호센터, 등록대행업체) 1. 동물복지 인증 농장 현황 번호 인증번호 농장명 주소 인증품목 인증날짜 사육시설 사육규모 (마리) 자유 방목 1 동물복지-11-09-1-1 명천농원 강원도 횡성군 산란계 2012-07-11 5동 4,000㎡ 20,000 ○ 2 동물복지-11-07-1-1 계성양계 영농조합법인 강원도 삼척시 산란계 2013-02-13 4동 2,214㎡ 16,650 × 3 동물복지-11-01-1-3 푸른농장 강원도 춘천시 산란계 2015-08-31 7동 5,171㎡ 33,400 × 4 동물복지-11-01-1-1 양지마을농장 강원도 춘천시 산란계 2015-11-17 4동 918㎡ 10,000 × 5 동물복지-11-14-1-1 농원농장 강원도 화천군 산란계 2016-06-01 4동 962.4㎡ 6,000 × 6 동물복지-11.. 2023. 5. 31.
[병원격리] 의료관련감염병 관리지침 총론 1. 개요 가. 목 적 ●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및 반코마이신중등도내성황색포도알균(Vancomycin-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VISA) 감염증에 대한 감시와 효과적 예방・관리 대책 실행 및 신속한 대응을 통해 접촉자를 관리하고 추가 전파를 차단 나. 관리방향 ● 전수감시를 통해 국내 환자발생 규모 파악 및 관리대책 마련 ● 의료기관 감염예방 및 관리 역량 강화 ● 다분야 협력에 의한 예방전략 실행을 통해 발생예방 유도 다. 법적 근거 ● 제2급감염병의 정의 및 종류: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 ● 예방관리 사업: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 2023. 5. 9.
[병원격리] VRSA/VISA 감염증 VRSA/VISA 감염증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ancomycin-intermediate Staphylococcus aureus) 1. 개요 정 의 ∙반코마이신에 대해 감수성이 저하된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감염질환 방역이력 및 발생현황 ∙2010년 12월 법정감염병(지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표본감시체계로 운영되어 오다, 2017년 6월 3일부터 제3군감염병(전수감시체계)으로 전환 ∙2020년 감염병분류체계 개편에 따라 제2급감염병으로 분류 ∙국내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 보고는 없음(2022년 1월 현재) ∙2017년 6월 3일 VRSA 감염증이 제3군감염병(전수감시체계)으로 전환시 VISA 감염증은 제외 되었다가, 2019년 .. 2023. 5. 9.
[병원격리] 반코마이신내성황색포도알균(VRSA) 감염증 접촉자 분류 1. 고수준 접촉자 A. 환자 -VRSA 감염증 환자와 같은 병실을 사용한 환자 B. 환자를 직접 간호하는 간호사(또는 간호제공자) -환자의 목욕, 체위변경, 이송 등 환자와 지속적으로 직접 접촉한 경우 -드레싱 교환한 경우 -빈번하게 병실을 방문한 경우(교대근무자가 본인의 근무시간 내 3회 이상 방문) -환자의 분비물과 체액을 다룬 경우 -정맥주사 처치를 시행한 경우 C. 의사 -상처 드레싱을 시행 또는 수술실 밖에서 괴사조직 제거술을 시행한 경우 -광범위한 검사를 시행한 경우 D. 기타 의료인력 -물리치료사 또는 재활치료사와 같이 환자와 지속적으로 신체적 접촉을 한 경우 E. 가족 구성원 -환자와 지속적으로 밀접한 접촉을 한 경우(예: 같은 침대 또는 같은 방에서 잠을 자는 등) 2. 중등도수준 접촉.. 2023. 5. 9.
[병원격리] CRE 감염증 관리지침 1. 개요 가. 목적 ●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감염증에 대한 감시와 효과적 예방・관리 대책 실행 ●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E*) 감염증 집단발생 역학조사를 통한 접촉환자 관리 및 추가 전파 차단 * 본 지침에서 CPE는 카바페넴분해효소를 생성하는 CRE를 의미하며, 카바페넴분해효소를 생성하지만 CRE가 아닌 경우 신고대상에서 제외 나. 관리 방향 ● 전수감시를 통해 국내 환자발생규모 파악 및 관리대책 마련 ● 의료기관 감염예방 및 관리 역량 강화 ● 다분야 협력에 의한 예방전략 실행을 통해 발생예방 유도 다. 법적 근거 ● 제2.. 2023. 5. 9.
[병원격리] CRE 감염증(발행현황, 예방) 1. 개요 정 의1) 카바페넴계 항생제(ertapenem, meropenem, doripenem, imipenem)에 최소 한 가지 이상 내성인 장내세균속균종에 의한 감염질환 방역이력 및 발생현황 ∙국내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2010년 12월 법정감염병(지정감염병)으로 지정되어 표본감시체계로 운영되어 오다 2017년 6월 3일부터 제3군감염병(전수감시체계)으로 전환 ∙2020년 1월 1일 감염병예방법 개정(분류체계 개편)에 따라 제2급감염병으로 변경 ∙2020 이후 카바페넴장내세균속균종(CRE) 중 카바페넴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카바페넴내성 장내세균속균종(CPE)이 약 60% 이상 차지 병원체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 2023. 5.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