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기/행정업무

[혁신사례] 모든아이 돌봄사업

by 정보알리미! 2024. 1. 15.
반응형

[혁신사례] 모든아이 돌봄사업

 

초등자녀 함께 키워요! ‘모든아이 돌봄’

서울특별시 중구 교육아동청소년과 모든 아이 돌봄 사업 지자체, 학교, 교육청이 협업하여 학교 안 돌봄교실을 구청 직영으로 전환하고 저녁 8시까지 교실 당 교사 2명을 배치하여 수요자 중심 돌봄 환경을 조성한 사업

 

힘을 내요 워킹맘, 아이는 저녁까지 우리가!

일하는 엄마들은 늘 퇴사 고민이 따라 다닌다. 선배 워킹맘들이 말하는 세 번의 큰 고비가 있는데 아픈 아이를 어린이집에 맡기고 돌아 나올 때, 초등학교 입학하면서 아이가 적응은 잘 하는지 불안해하며 아이 친구 엄마들과의 관계맺음을 고민할 때, 중학교 아이의 사춘기 반항과 학업부진으로 한숨이 나올 때라고 한다.

 

씩씩한 아들을 키우며 열심히 회사 눈칫밥을 먹고 있는 나에게 첫 번째 고비는 어린이집과 친정 엄마의 도움으로 겨우 겨우 넘겼다고 생각하지만, 초등학교 입학 후 아이 양육은 넘기 힘든 산이 되었다. 인터넷 검색창에 워킹맘(working mom)이란 단어를 치면 연관 검색어에 워킹맘 1학년, 워킹맘 2학년, 워킹맘 고통지수 이런 단어들이 검색된다. 정말 이해가 된다. 우리 준이는 초등학교 2학년이다. 입학할 때 학교는 저녁시간까지 있는 아이들이 없어 오후 5시까지만 돌봄교실을 운영한다고 하고 친정엄마는 준이보다 더 어린 조카를 돌보아야 해서 더 이상 부탁 드릴수도 없어 1학년 아이를 방과후 프로그램과 학원으로 뺑뺑 돌게 했다. 퇴근길에는 늘 달려야 했고, 아이는 힘들다하고 집은 엉망이었다. “아이가 2학년 올라가기 전에 일을 그만둬야겠다”는 말을 입버릇처럼 하고 다녔다. 그런데 얼마 전, 구청에서 학교 돌봄교실을 직접 아침 7시반 부터 저녁 8시까지 운영하면서 저녁도 무료로 준다는 가정통신문을 받고 아이에게 미안하지만 조금만 더 일해보기로 했다. 지난 1년 준이의 2학년 생활은 놀랍도록 안정됐고, 나의 퇴근길은 마음이 한결 편해졌다. 무료로 주는 저녁이라 형편없진 않을까 하던 걱정도 기우였고, 저녁 먹고 돌봄교실에서 하는 프로그램이 재미있는지 외부 출장으로 일찍 퇴근하는 날도 학교에 일찍 데리러 오지 말라고 한다. 돌봄선생님이 교실에 두 분씩 계시는데 아이 고민도 잘 들어주시고 중간에 학원도 안전하게 다녀올 수 있도록 잘 관리해 주신다. 덕분에 일과 가정을 안정적으로 지킬 수 있게 되었다. 중구 모든 아이 돌봄 사업은 워킹맘의 든든한 응원군이다.


지자체와 학교가 손을 잡다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중구는 업무·상업 중심지로 인구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반면 지역 특성상 맞벌이 부부가 많아 초등 돌봄 공간을 찾기 어려웠다. 또한 학부모가 원하는 돌봄공간은 학교 안 돌봄교실이지만 학부모가 원하는 대로 학교에서 돌봄시간을 확대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는 많은 제약이 있었다. 이에 중구청, 학교, 교육청이 손을 잡고 ‘학교는 교육을, 지자체는 돌봄을’ 각자 자신 있는 분야의 역할 분담을 통해 아이들이 학교 안에서 학부모가 원하는 수준 높은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학교는 공간을 제공하고 중구청이 돌봄교실을 직접 운영해 일하는 학부모의 돌봄 현실에 맞게 돌봄시간을 늘리고, 높은 수준의 돌봄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맞벌이 가정의 양육부담을 줄여 줄 획기적인 돌봄 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미래에 대한 투자! 학부모가 원하는 초등돌봄

학교 안‘중구 모든아이 돌봄’사업은 돌봄교실을 아동친화적으로 리모델링하고 교실당 돌봄교사는 2명씩 배치하여 교사들이 아이들을 온전히 보살필 수 있도록 했다. 아침 7시 30분부터 저녁 8시까지, 방학기간에는 아침 8시부터 저녁 8시까지 운영하며 긴 시간 이용하는 아이들을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급·간식을 무료로 제공하여 일하는 엄마들의 양육부담을 줄이고 사회 생활을 지원한다. 2019년 3월 서울 흥인초 돌봄교실 시범운영을 시작한 ‘중구모든아이 돌봄’은 학부모 님들의 요청으로 2019년 9월 중구 직영 2호인 서울 봉래초 돌봄교실로 확대하였으며 2020년 3월 서울 광희초, 남산초, 청구초 돌봄교실도 직영 운영할 예정이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2019 정부혁신 사례집(웹용 저용량).pdf
8.59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