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기/행정업무

[혁신사례] 스마트 에어클린 버스쉘터

by 정보알리미! 2024. 1. 16.
반응형

[혁신사례] 스마트 에어클린 버스쉘터

 

버스정류장이 친환경 안전지대로 변했다!

경기도 고양시 도시균형개발과 스마트 에어클린 버스쉘터란? 에어커튼의 설치로 버스정류장 외부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에는 공기정화장치를 통해 공기질을 개선하는 친환경 버스정류장 시스템

 

버스 쉘터의 변신은 무죄

경기도 고양시에 살고 있는 고교생 김유민 양, 고양시의 외곽에 살고 있는 유민이는 어린 시절부터 버스를 타고 시내로 줄곧 통학을 해왔다. 요즘 버스를 이용하면서 가끔 옛 생각을 해본다. 언제 올지 모르는 버스를 하염없이 기다리던 그 때를 생각해보면 요즘은 버스 이용하는 것이 너무 편해졌다는 생각이 든다. 집에서 출발하기 전에 버스가 언제 오는지 확인하는 것은 이제 일상생활이 됐다. 더군다나 추운 겨울에는 따뜻한 온풍기가 켜지고, 더운 여름에는 시원한 바람이 솔솔 나오는 버스쉘터 (Bus Shelter) 덕분에 버스를 편하게 이용하고 있다. 다만 미세먼지로 인해 공기도 안 좋은데 큰 트럭들이 지나가면서 매연까지 가세하면 정말 숨이 턱턱 막히는게 한가지 아쉬운 점이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버스쉘터가 달라졌다. 쉘터에 미세먼지 정화장치를 설치하면서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쾌적하게 있을 수 있다. 에어커튼이 바깥의 오염된 대기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내부에서는 프라즈마 정화기가 공기를 깨끗하게 해주니 어쩌면 우리집 보다 더 공기질이 좋은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이렇게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편해지다 보니 부모님께 자가용을 태워달라고 하지 않게 됐고, 공기질 개선과 에너지 절약에 일조하고 있다는 자부심도 생겼다. 앞으로도 더 좋은 서비스들이 계속 나와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살고 있는 도시에서의 생활이 점점 쾌적해졌으면 좋겠다고 희망해 본다.

 

이제 차는 두고 버스를 이용하자

날로 심해지는 미세먼지 문제는 국가재난으로 분류하고 관리 되고 있는 실정이다. 고양시도 노후 경유 차량 교체, 나무 식재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등 다양한 미세먼지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버스쉘터에 미세먼지 저감 장치를 설치하여 시민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대중교통을 더 많이 이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자가용 이용을 줄여 대기질 개선 효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 미세먼지 저감장치란 박스형 버스쉘터에 에어커튼을 이용해 오염된 대기가 쉘터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내부 공기는 플라즈마 청정기를 이용해 개선하는 방식이다. 버스를 기다리는 동안 도로변의 오염된 공기로부터 이용자를 보호하고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여 이용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스마트 에어클린 버스쉘터’ 시스템 도입

‘스마트 에어클린 버스쉘터’는 최근 미세먼지에 대한 시민들의 관심이 급증하고, 그 위험성이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발굴한 고양시 자체 아이디어 사업이다. 버스를 기다리는 중에 받게 되는 대기오염 피해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하는 안전한 버스 정류장 개념을 스마트시티 서비스 방식으로 수행했다. 플라즈마 이온 기반의 에어커튼, 에어클린 시스템, 실내외 공기질 측정기를 버스쉘터 내외부에 설치하여 IoT 인프라로 연결해서 구성했다. 4차 산업혁명 대비 스마트 안전 도시 추진을 위한 인프라 구축에 기여했고, 다수의 시민들이 이용하는 공간을 대상으로 한 시민 체감형 서비스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시민의 삶의 질 개선에 긍정적 가치를 창출했다. 서비스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한 테스트 환경에서의 대기 질을 측정한 결과 30% 이상의 미세먼지 절감 효과를 확인하였고 시민 만족도 설문결과 95% 이상의 긍정적인 답변을 보였다. 고양시는 앞으로도 친환경 스마트도시 시스템 확대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전개해나갈 계획이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2019 정부혁신 사례집(웹용 저용량).pdf
8.59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