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기/행정업무

[혁신사례] 사회배려대상자 도움벨방

by 정보알리미! 2024. 1. 8.
반응형

[혁신사례] 사회배려대상자 도움벨방

 

도움벨방 운영으로 배려하는 민원처리
전라북도 완주군 종합민원과
사회배려대상자 도움벨방이란?
어르신, 장애인, 임산부, 영유아 동반 등 사회배려대상자가 도움벨방에 앉아 벨을 누르면
공무원이 달려와 민원처리를 해주는 서비스

도움벨방 Before vs After??!!

완주군 봉동읍에 사시는 어르신 A씨(남, 68세)는 완주군의 ‘사회배려대상자를 위한 도움벨방’의 운영전(Before)과 운영후(After)를 경험한 분이다. 2018년 도움벨방 운영전에는 실거래 신고창구를 찾아 신고서를 작성하고 다소 불편한 의자에 앉아서 한참을 기다린 후에야 신고필증을 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도움벨방이 생긴 이후에는 직원이 신고서 작성도 도와주고 푹신한 쇼파에 앉아 잡지를 보며 시간을 보내고 있었더니 직원이 민원처리가 완료되었다며 신고필증을 가지고 와서 너무 편하고 좋았다며 소감을 전했다.


진정한 배려란 ‘곁으로 찾아가는 것’

사회배려대상자가 도움벨방에 가만히 앉아 벨만 누르면 공무원이 민원을 처리해주는 ‘사회배려대상자 도움벨방’은 전라북도 완주군에만 있다. 일반 민원인들도 낯선 민원실에서 본인이 원하는 업무를 해결할 창구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곤 한다. 하물며 거동이 불편한 사회배려대상자의 경우는 더욱 그럴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전국 어느 민원실이나 사회배려대상자(어르신, 장애인, 임산부 등)의 민원을 우선 처리하는 민원창구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대상자가 창구를 찾아와야 처리를 해주는 시스템이고 공무원이 민원인을 직접 찾아가 처리해 주는 도움벨방을 운영하는 민원실은 완주군이 유일하다.

작은 발상, 따뜻한 배려가 취약계층을 더욱 든든하게!

완주군의 경우 2018년말 기준 사회배려대상자가 33,073명(어르신 19,780명, 장애인 8,037명, 6세 이하 유아 4,686명, 출생아 570명)으로 완주군 전체인구(92,872명)의 35.6% 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완주군은 이러한 사회배려대상자를 배려한 시책발굴을 위하여 많은 고민을 했다. 그러던 중 우연히 찾은 음식점에서 호출벨을 누르면 종업원이 와서 필요한 것을 제공해주는 서비스를 보고 영감을 얻어 민원행정서비스에 접목, ‘사회배려대상자를 위한 도움벨방’을 기획하게 되었다.

 

민원실에서 가장 아늑한 상담실 공간에 어르신, 장애인 등 거동이 힘든 민원인이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폭신한 쇼파를 놓고 호출벨을 설치하였으며 민원인이 대기하는 동안 무료함을 달랠 수 있도록 간단한 잡지나 소식지 등 을 비치하여 안락한 도움벨방을 꾸몄다. 아울러 지역언론과 이장회의 순회안내 등 다각적으로 홍보활동을 펼쳤다. 이로써 어느 자치단체에서도 시도한 적 없는 ‘사회배려대상자 도움벨방‘이 탄생하게 되었다. 2019년 4월부터 운영 중인 도움벨방은 월 10회 이상 사회배려대상자의 편리한 민원발급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으며 공무원이 민원인의 공간에 직접 찾아가 민원신청부터 발급까지 도움을 주는 역발상 서비스로 이용 민원인들의 만족도 또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2019 정부혁신 사례집(웹용 저용량).pdf
8.59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