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기/행정업무

[혁신사례] 공공놀이터의 혁신놀이공간화

by 정보알리미! 2024. 1. 6.
반응형

[혁신사례] 공공놀이터의 혁신놀이공간화

 

골칫거리 놀이터가 혁신적인 놀이공간으로 변신

전라북도 군산시 아동청소년과 공공놀이터의 혁신놀이공간화 세이브더칠드런, 군산대학교, C프로그램, 군산시가 협업을 통해 놀이터 환경진단을 시행하고 수요자인 아동과 시민 중심으로 놀이터 리모델링을 진행한 사례

 

창조적 놀이 공간으로 변신, 공공놀이터

초등학교에 다니는 김명량 군은 학교가 끝나고 반 친구들과 함께 동네 인근에 조성된 3개 공공놀이터를 돌면서 비닐 포대를 이용한 언덕놀이, 그물망이 설치된 모험놀이, 다목적 공놀이, 짚라인게임 등 다양한 놀이 활동을 하고 있다. 특히 학교 놀이수업 시간에 놀이터 활동가 선생님들에게 배운 전래놀이, 창작놀이를 직접 친구들과 해보면서 공공놀이터에 가서 노는 일이 갈수록 즐거워지고 있다. 그동안 김군은 단독주택에 살다 보니 아파트단지에 살고 있는 친구들이 함께 놀자며 아파트단지 안으로 불러줘야지만 널따란 놀이터에 가서 놀 수 있었다. 시에서 만든 기존의 놀이터들은 대부분 종합놀이대 하나 덩그러니 설치되어 있는 놀이터뿐이었다. 형태와 구성도 다 비슷비슷해서 쉽게 싫증이 났다. 김 군의 부모님도 “놀이터에 가서 괜히 다치지 말라”며 만류할 때도 많고 “공공놀이터에서 노는 게 재미없다”는 또래 친구들도 많아서 최근에는 놀이터를 향한 발걸음을 멈췄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아파트단지가 아닌 김 군의 동네 놀이터가 달라지기 시작했다. 딱딱하고 거칠기만 했던 놀이터 바닥에 백사장 모래 공간이 들어섰고, 큰 공원과 테마파크에서만 봤던 다양한 모험놀이기구들이 작은 놀이터시설로 들어왔다. 뿐만 아니라 비가 오거나 바람이 많이 부는 궂은 날씨에도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다목적 놀이공간도 갖춰졌고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다양한 놀이학습, 체험프로그램도 운영되기 시작했다.


외면받는 공공놀이터의 문제점 해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놀이터가 생기기 시작한 건 1970년대. 아파트 건설 붐이 일면서 놀이기구가 있는 놀이터가 곳곳에 마련됐다. 1973년에는 주택건설촉진법으로 ‘어린이 놀이터는 최소한 그네, 미끄럼틀, 철봉, 모래판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기준을 새겨넣었다. 2000년대 들어서 놀이터의 안전과 위생 문제가 지적되면서 모래판은 우레탄 등 고무소재의 바닥으로 바뀌고, 정글짐과 철봉 등은 사라졌다. 대신 창의력을 키운다며 우주선, 배 등의 독특한 시설물이 놀이터 중앙을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놀이터가 놀이시설을 공급하는 업체에 의해 주도적으로 만들어지면서 아이들이 놀 공간은 점차 사라지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학령인구의 감소, 어린이들의 방과후 사교육활동, 인터넷 매체 확산도 몫을 더했다. 공동주택, 다세대주택 지역의 놀이터는 특별한 기능이 없는 동네의 유휴공간, 어른들의 쉼터로 전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고유의 기능을 상실한 놀이터에 대한 불만도 계속 됐다. 쓰레기 무단투기, 야간 음주, 시설 노후에 따른 위험을 해소해달라는 민원이 계속 발생되는 등, 지역의 공공놀이터는 오랫동안 어찌할 수 없는 골칫덩이로 전락하게 됐다.


체계적인 공공놀이터 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

군산시는 이러한 공공 놀이터 문제를 해결하고 선진국형 혁신놀이터 조성을 위해 2018년부터 ‘어린이 놀이환경 개선사업’을 지자체와 민간연구기관, 글로벌 비영리단체의 협력으로 본격 추진하기 시작했다. 군산시·세이브더칠드런·군산대학교가 공동으로 기획한 이 사업으로 군산시는 가장 먼저, C프로그램(벤처기부펀드)과 협업을 통해 전국 최초로 개발된 조사표를 기준으로 어린이공원 74개소에 대한 환경진단을 실시하였으며 놀이터의 주인인 청소년과 시민 등이 참여해 도출한 놀이터의 콘셉트에 맞춰 놀이터 리모델링을 하나둘씩 완료해 갔다. 이로써 놀이터 조성과 관련해서는 개발자, 공무원 중심에서 전문기관 협업, 수요자인 아동, 시민 중심의 개선 매뉴얼이 확보됨으로써 아동과 시민의 공감대와 만족도를 높일 수 있었다. 이제 공공놀이터는 민원 해소를 위한 관리대상이 아닌 본래의 역할과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지역자산으로 변모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2019 정부혁신 사례집(웹용 저용량).pdf
8.59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