휠체어는 내가 마스터! 발달장애인 일자리창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북부지사 취업지원부 휠 마스터(Wheel Master)란? 보조기기 관리 직업훈련을 받은 발달장애인이 병원 내 공용으로 사용되는 휠체어 등 보장구에 대한 살균소독, 세척, 경정비 등의 업무를 담당할 수 있도록 한 사업
안녕하세요. 저는 휠마스터입니다!
복도를 걷다 멈칫했다. 보조기구 세척실에 휠체어가 대여섯 대 모여 있었고, 그 앞에 쪼그려 앉은 두 사람이 보였다. 한 사람이 이쪽저쪽 가리키면 다른 사람이 솔과 걸레를 들고 문질렀다. 우리 병원에서 처음 보는 사람들이었다. 잠시 망설이다 물었다. “어떻게 오셨어요?”두 사람이 동시에 고개를 돌렸다. 이쪽저쪽 가리키던 사람이 일어서더니 대답 했다. “여기 직원입니다.” 그는 자신을 ‘근로지원인’이라고 소개했다. 휠체어를 닦던 사람은 일명 ‘휠마스터'로 병원에 고용된 지적장애인이고, 자기는 일을 가르쳐주며 도와주는 사람이라고 했다. 며칠 전에 한국장애인고용공단에서 장애인 몇 사람을 소개하고 갔다는 얘기는 들었다. 그때만 해도 장애인이 일을 제대로 할 수는 있을지 의문스러웠다. 그런데, 심지어 지적장애인이라니. 지적장애인이 일하는 모습은 상상해본 적도 없었다. 하지만 내 앞에 있는 사람은 이미 어디서 배우기라도 한 듯이 능숙하게 휠체어를 분해하여 조립하고 있었다. 나중에 인사팀에게 들으니, 그들은 어쩌다가 여기에 온 게 아니었다. 발달장애인에게 휠체어 같은 보조기구 관리업무를 맡기자는 아이디어는 경기도 차원에서 발전시켜온 것이었다. 지역 장애인 단체인 경기북부 장애인가족지원센터에서는 실제로 학생을 모아 훈련도 시켰다. 거기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 훈련생들을 취업시키려 사방팔방 뛰어다닌 끝에 나와 만나게 된 것이다. 장애인 자신을 위해 소속도, 하는 일도 다른 이들이 힘을 합친 사실을 알게되어서 일까. 세척실을 지날 때마다 보이는 휠마스터들의 뒷모습이 어쩐지 든든해 보인다.
장애인일자리, 생각하면 답이 보인다!
취업이 어렵다는 장애인들 사이에서도 더 취약한 계층이 있다. 바로 중증장애인들이다. 전체 장애인 고용률도 36.5%에 불과하지만, 중증장애인 고용률은 그 절반 수준에 그친다. 문제는 중증장애인의 수와 비중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지체장애는 감소하는 반면, 전체가 중증장애에 속하는 발달장애는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발달장애는 학령기와 구직기 대부분을 차지한다. 중증장애인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원방안을 강화해야 할 시점이란 뜻이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북부지사는 신규 직무 개발 및 교육 훈련에 어려움을 겪는 발달장애인을 중심에 놓고 경기도 지역 내 유관기관 간 협력을 통해 적합 직무 및 사업체 발굴과 훈련, 취업연계를 유기적으로 수행하여 왔다.
발달장애인 보조기기 관리사! 기억해주세요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자립지원을 위해서는 관계기관과의 유기적인 협업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기관이 아니라 장애인을 중심에 두고 각 기관의 역량을 결합했다. 경기도교육청은 훈련생 모집과 발굴을, 경기장애인부모연대는 직업훈련과 사후관리를 맡았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경기북부지사는 사업체를 발굴해 훈련생과 연결시켰고, 고용장려금·지원고용 등 공단의 각종 정책을 활용해 고용 사업체를 지원했다. 도내 장애인 고용 유관기관들이 협력한 결과 훈련생 16명 전원이 취업에 성공했다. 이 중 11명은 ‘휠마스터(발달장애인 보조기기 관리사)’로 공공기관과 병원 등에서 일하게 됐다. 협업의 성과는 이제 막 나타나기 시작했지만, 의미는 작지 않다. 도내 기관들이 중증장애인 취업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 꾸준히 접촉하는 계기를 만들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학령기에는 교육을, 성인기에는 훈련과 고용연계를, 고용 이후에는 사후관리와 가족상담 등 생애주기별 서비스를 제공할 기반을 다졌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부평형 공공갈등 관리체계 (1) | 2024.01.27 |
---|---|
[혁신사례] 공공시설 이용요금 감면자격 확인서비스 (1) | 2024.01.26 |
[혁신사례] 캠퍼스형 공동교육과정 (0) | 2024.01.24 |
[혁신사례] NGO 협업으로 케미포비아 해소 초록누이 (3) | 2024.01.23 |
[혁신사례] 과학기술 기반 리빙랩 (3) | 2024.0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