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올인원 취업서비스로 청년에게 내일(my job)을! 충청남도 아산시 사회적경제과
올인원 청년내일(my job)캠퍼스란?
① 자기이해 ② 직무분석 ③ 구직등록 ④ 자기소개서 첨삭 ⑤ 면접코칭 ⑥ 자기소개서 VOD영상제작 ⑦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지원 단계를 개별기관 방문없이 한 공간에서 연속적으로 받을 수 있는 취업서비스
코로나19 일자리 쇼크, 벼랑 끝 구직청년들
대학 졸업 후 취업전선에 뛰어든 지 어언 1년, 최선희(26세) 씨는 그동안 수십 곳의 기업에 구직원서를 내보았지만 대부분 서류심사에서 탈락하였고, 운이 좋게 서류심사에 합격하여 면접을 봐도 최종합격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탈락의 고배를 계속 마시게 되니 자신감과 자존감은 한없이 떨어져만 갔고 혼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사회적 고립감과 단절감은 더욱 커졌다. 그녀가 구직활동을 소홀히 하거나 취업 준비를 열심히 하지 않은 것은 아니었다.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구직등록도 하고, 대학일자리센터에서 제공하는 기업채용설명회 및 NCS직무분석 프로그램에 참여도 해보았으며 유료 온라인강의를 통해 자기소개서 컨설팅도 받아보았다. 그러나 가뜩이나 좁아진 취업문에 코로나19라는 악재까지 겹쳐 개별 취업 지원기관의 방문도 어려워지면서 급기야 구직을 포기할 생각까지 하게 되었고, 이는 비단 자기만의 문제가 아니라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모든 구직 청년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라는 것도 알게 되었다.
실전에 강한 취업 프로그램
구직활동 중 선희 씨는 아산시에서 운영하는 올인원 청년내일(my job)캠퍼스 취업스터디 <스파르타>라는 프로그램을 알게 되었고, 이번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스파르타’는 자기이해, 직무분석, 자기소개서 첨삭, 면접코칭, 사후관리로 이어지는 모든 과정을 하나의 패키지로 제공한다. 또한 비대면 구직활동 서비스인 ‘VOD 영상 자기소개서’ 서비스도 지원한다. 청년 구직자의 희망 직무에 맞춰 영상콘텐츠를 제작하고 이를 기업에 전달하여 영상을 매개로 우수인재와 비접촉으로 생생히 맞닿을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최선희 씨는 ‘스파르타’ 프로그램 중 자기이해 및 DISC 진단 분석 시간에 참여한 이후 “이 프로그램은 단순히 지식을 나열해주는 것이 아닌 진짜 실전에 강한 취업컨설팅이구나!” 라고 기대하게 되었다. 또한, 그동안 나름 잘 작성하였다고 생각한 이력서, 자기소개서를 다시금 직무에 맞추어 첨삭받고, 경력기술서 및 포트폴리오를 핵심 키워드 중심으로 조합할 수 있도록 컨설팅받았다. 모의면접 코칭을 받으며 태도, 성량, 발음에 대한 교정도 받을 수 있었고, 자기소개서를 영상으로 제작하는 서비스도 무료로 받을 수 있었다. 무엇보다 만족스러웠던 점은 개별기관 방문없이 <올인원 청년내일(my job)캠퍼스> 한 곳에서 단계별 구직서비스를 체계적으로 받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올인원 청년내일(my job)캠퍼스 ‘스파르타’ 프로그램을 이수한 후, 선희 씨는 경기도에 있는 외국계 식품기업인 ‘○○○코리아’ 에 최종 합격하는 기쁨을 누릴 수 있었다.
청년 구직서비스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여러 비수도권 지자체의 일자리센터에서 제공하는 취업서비스는 구직알선이 대부분이고 그마저도 청년들에게 맞지 않은 일자리가 다반사였다. 그래서 구직 청년들은 취업에 대한 부담을 철저히 혼자서 떠안을 수밖에 없었다. 충청남도 아산시에서는 이러한 청년들의 고충을 해소하기 위해 올인원 청년내일(my job) 캠퍼스 청년 취업스터디 ‘스파르타’라는 정책을 기획하였다. ‘스파르타’의 주요 강점 중 하나는 기관별로 분절된 각각의 취업서비스를 하나로 모아 편의성과 효율성을 높였다는 점이다. 이전에는 기관마다 직무분석, 구직등록, 자기소개서 첨삭, 면접코칭, 직업훈련 등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운영하여 구직 청년들이 취업서비스를 한 곳에서 온전히 일관되게 받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청년들이 이곳저곳 방문할 필요 없이 청년공간 <청년아지트 나와유>에서 연속적으로 개별 맞춤형 취업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시스템화한 정책이 바로 올인원 청년내일(my job)캠퍼스 취업스터디 ‘스파르타’이다. ‘스파르타’에 참여한 구직자의 취업률은 최종 80%를 달성하였고, 대기업 입사와 임용고시를 준비하던 청년 전원이 합격하는 기쁨을 누리게 됐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해양쓰레기 수거대작전의 명장 ‘통영아라호’ (2) | 2023.07.27 |
---|---|
[혁신사례] 노인층 납세자를 생각한 실버맞춤형 납세고지서 (2) | 2023.07.26 |
[혁신사례] 힐링캠프 다락多樂방 (2) | 2023.07.24 |
[혁신사례] 장애인 취업지원 서비스 이어모아 (1) | 2023.07.21 |
[혁신사례]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제도 개선 사례 (2) | 2023.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