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까신이란?
치매어르신 실종예방을 위한 전국 최초 신발형 배회감지기로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치매어르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해주는 신발
꼬까신 신고 마실 나갑니다.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꼬까신입니다. 왜 꼬까신이냐구요? 어렸을 적 알록달록 새 신발을 신고 좋아했던 기억을 불러일으켜 어르신들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기 위해 ‘꼬까신’ 이라는 이름이 생겼어요. 제 이름이 혹여나 치매신발, 스마트 슈즈라는 이름이라면 어르신 들이 거부감을 가지실 것 같았어요. 그래서 일산동구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서 저에게 ‘꼬까신’이라는 예쁜 이름을 지어주셨답니다. 저는 치매에 걸리신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길을 잃지 않고 안전히 집에 돌아가실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지금 제가 어디에 있는지 아시나요? 작년에 치매를 진단받으신 주인님을 만나 신발장 안에서 주인님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오늘은 어디로 데려가주실까요? 주인님께서는 오늘 외출하시는 날이랍니다. 오늘 우리 어르신은 일산동구보건소 치매안심센터 쉼터 수업을 들으러 나가시네요. 어르신은 이 시간을 가장 행복해한답니다. 어엇? 어르신이 가야할 길이 아닌 다른 길로 가시고 있어요. 점점 치매안심센터와 멀어 지고 있어요. 깊은 산 속으로 들어가시면 안돼요! 어르신이 혼란스러워 하고 있네요. 어르신의 보호자 스마트폰에 설치되어 있는 앱을 통해 알람을 울려야겠어요. 삐비빅! 보호자님, 지금 주인님이 이상한 곳으로 가고 있어요! 도와주세요! 알람이 울리는 동시에 보호자님과 경찰관님이 어르신을 구하러 오셨어요. 다행히 주인님은 따뜻한 보호자님의 품에 안길 수 있었답니다.
치매실종노인 수색 1.7시간으로 줄여줘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되면서 온 국민이 치매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치매노인 실종건수가 나날이 증가하면서 치매환자 실종예방을 위한 배회 감지기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치매실종노인을 수색하는 데 평균 11.7시간이 걸린다고 하나, 배회감지기를 이용할 시 수색하는 데에 평균 1.7시간으로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했다. 이에 기존 손목형, 목걸이형 배회감지기의 장점을 강화하고 실용성을 향상 시킨 스마트 슈즈 ‘꼬까신’이 등장하게 되었다.
전국 어디서나 위치 추적이 가능
치매 국가책임제의 실현 및 국가 치매노인 실종예방 사업의 모범사례로 발전하여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고자 치매어르신 실종예방을 위한 전국 최초 신발형 배회감지기인 ‘꼬까신’사업을 시작했다.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배회가능성이 높은 치매어르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치매환자와 가족이 심리적으로 부담을 덜고, 치매어르신이 안심존을 벗어날 때 보호자의 스마트폰으로 알람이 울려 배회하는 치매어르신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꼬까신’시범사업 100족 중 현재 50명의 치매환자들을 선정하여 꼬까신 배부 및 배회가능 치매노인에 관한 집중 사례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치매안심마을인 중산동 주민과 치매환자 돌봄부담 비용으로 힘겨워 하는 위기가정을 우선순위로 지원하여 치매환자와 가족의 경제적 부담 경감과 치매안전망에 관한 만족도 향상을 이끌었다. 대체적으로 만족한다는 의견이 82%, 시범 사업이 끝나더라도 지속할 의향이 있다는 의견이 91%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치매안심마을에서 치매안심국가로
기존의 배회감지기의 단점을 보완하여 위치추적의 기능을 높였다. 배터리가 닳더라도 보행을 통하여 자가발전식 충전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또, 3G망을 사용하여 음영지역 없이 전국 어디에서나 위치추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장신구를 거부하는 치매환자의 특성 상 목걸이, 팔찌형 배회감지기는 미착용률이 높으나, 신발은 실종사건의 중요한 단서가 될만큼 착용률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치매환자 뿐만 아니라 실종률이 높은 미취학 아동 및 지적장애인까지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어 사회적 실종률 감소에 지대한 공헌을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사회 복지가 포함된 수도검침 서비스 (0) | 2024.05.17 |
---|---|
[혁신사례] 어린이보호구역 표준모델 (1) | 2024.05.16 |
[혁신사례] 에너지 복지사업 (0) | 2024.05.14 |
[혁신사례] 3801 인사혁신 프로젝트 (0) | 2024.05.13 |
[혁신사례] 지방세 환급금 24시간 문자청구 서비스 (2) | 2024.05.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