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검침, 취약계층의 파수꾼이 되다 한국수자원공사 경영관리실
사회 복지가 포함된 수도검침 서비스 스마트 검침을 활용하여 농촌지역 독거노인 세대의 수도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위기상황 발생시 사회복지담당자에게 즉시 연결하는 사회안전망 서비스
홀로 어르신 물과 함께
경상북도 고령군에 살고 있는 김○○ 할아버지(78세)는 15년 전 아내를 먼저 저세상에 떠나보내고 홀로 고향으로 돌아왔다. 슬하에 두 자녀를 어려운 형편에 최선을 다해 길렀 지만, 아들은 사업에 실패한 후 연락이 두절된 지 10년이 넘었다. 사고로 남편을 여의고 넉넉하지 않은 형편에 식당일을 하며 자녀들을 홀로 키우고 있는 딸도 자주 볼 수가 없다. 가진 돈은 모두 아내의 병원비로 쏟아 부었고, 고향에 돌아온 후에도 이웃의 도움으로 소일거리로 하루하루를 벌어 생활해 왔다. 이마저도 지난 몇 년 전부터는 거동이 불편할 정도로 건강상태가 좋지 않아 정부에서 지원하는 노인 연금 20만원과 장애지원금 4만원 으로 근근이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김○○ 할아버지는 놀라운 경험을 하게 되었다. 집 앞 마당에서 발을 헛디뎌 며칠간 혼자 집안에서 꼼짝하지 못하고 누워있었는데 한국수자원공사 직원이 찾아왔다. “어르신은 매일 아침 물을 사용하셨는데 최근 며칠 동안 물 사용량이 없으셔서 혹시 무슨 일이 생기신건 아닌지 확인하기 위해서 방문했다.” 라고 했다. 다리를 다쳐 거동이 어려웠다고 설명하자 바로 지역담당 사회복지사와 연계하여 인근 병원에서 골절상을 치료할 수 있게 도움을 주었다. 한국수자원공사에서는 지난해부터 사물인터넷(IoT)를 활용한 스마트검침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김○○ 할아버지와 같은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위기상황알림 서비스를 제공 하고 있다.
독거노인 대상 위기상황 알림 서비스
날로 증가하고 있는 노령인구와 저출산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노령화 문제는 지속적 으로 대두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65세 이상의 노령인구는 약 708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13.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독거노인의 수는 약 137만명으로 추산된다. 정부와 지자체에서는 이러한 노령화 사회에 따르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도입하고 노인복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가 수탁운영 중인 지방상수도 사업장은 주로 농촌지역으로, 급속한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독거노인과 같은 사회적·경제적 취약계층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 한다. 전기나 가스와 달리 수도의 사용량은 변동 폭이 크기 때문에 다른 검침과 비교해 위기 상황을 비교적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점에 착안하여 독거노인의 물 사용 패턴과 특정시간대 물 사용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위기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사회안전망 서비스를 개발하였다.
더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
한국수자원공사는 스마트 물 관리 기술과 ICT가 적용된 스마트 검침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지역 독거노인의 시간대별 물 사용 빈도 등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특정시간대(오전 5시에서 9시 사이, 오후 5시와 11시)의 물 사용량을 근거로 독거노인의 위기상황 발생을 예측하고 실시간으로 문자전송을 실시 하는 소프트웨어(‘홀로 어르신 물과 함께’)를 개발하고, 위기상황 발생 시 지역의 사회 복지담당자에게 즉시 연결하는 사회안전망 서비스를 구축하였다. 2017년 고령지역을 시 범사업으로 실시한 후 2018년 고령, 장흥, 봉화군으로 확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좀 더 촘촘한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해 지자체, 지역주민, 수도검침 원이 함께 정책실험실(국민 행복디자인단)을 운영하여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계층을 발굴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정기적으로 직접 취약계층을 대면하고 방문하는 수도검침 원의 업무 특성을 활용하여 기존의 검침업무에 국한하지 않고 복지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취약계층을 발굴하고 지역 사회복지담당자에게 전달 및 협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가 포함된 검침 서비스를 개발하여 시범 운영 중이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혁신24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발간자료를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취약계층의 법률복지를 위한 법률홈닥터 (0) | 2024.05.21 |
---|---|
[혁신사례] 문화유적지, 우리 모두를 위한 무장애 공간으로 (1) | 2024.05.20 |
[혁신사례] 어린이보호구역 표준모델 (1) | 2024.05.16 |
[혁신사례] 스마트신발 꼬까신으로 치매노인을 지킨다 (1) | 2024.05.16 |
[혁신사례] 에너지 복지사업 (0) | 2024.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