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기/행정업무

[혁신사례] 교육으로 하나되는 하모니 멘토링

by 정보알리미! 2023. 12. 27.
반응형

[혁신사례] 교육으로 하나되는 하모니 멘토링

 

색깔은 달라도 교육으로 하나되는 ‘하모니 멘토링’

대구광역시 달서구 행복나눔과 하모니멘토링이란? 지역청년들과 다문화자녀들이 ‘교육’을 매개로 끈끈한 관계망을 형성해 ‘함께 나누고 함께 성장’ 하는 교육공동체의 지속가능 멘토-멘티 프로그램

 

막내였던 제게 동생이 생겼어요

대학교에서 교육학을 전공하는 대학생 A씨는 평소 ‘교육재능 기부’에 관심을 가지고 있던 차에 달서구청에서 모집 중인 「하모니 멘토링 봉사단」을 신청하게 되었고, 2019년 1월 지금의 동생 설아를 만나게 되었다. 첫 방문을 하던 날, “선생님, 안녕하세요?” 3살인 쌍둥이의 엉덩이는 하늘을 향해 치켜들고 있었고 초등학교에 갓 입학한 설아, 그리고 베트남에서 시집온 엄마 미숙씨까지 현관 앞에서 배꼽 인사를 하고 있었다, 미숙씨는 16평 정도의 좁은 집에서 팔순이 넘으신 시어머니의 병 수발과 어린 아이 셋을 키우며, 게다가 한국 며느리들도 싫어하는 제사까지 모시며 꿋꿋하게 한국 생활에 적응하고 있었다. 하지만 결혼한 지 8년이 지난 미숙씨가 가장 힘든 건 역시 언어소통 문제였다. 바깥 출입을 거의 하지 않아 한국어를 모르는 엄마였기 때문에 아이가 학교에서 받은 가정통신문을 볼 때면 가슴이 답답했다고 한다.

 

첫 활동날, 엄마 미숙 씨는 서툰 한국말로 “선생님! 우리 아이 한글 잘 못해요, 그리고 공부도 필요해요. 도와주세요.” 라고 본인의 의사를 전달했고, 이렇게 나의 멘토링은 시작되었다, 정말 설아에게 또 엄마 미숙씨에게 도움을 주고 싶었다. 한글 교육 중심으로 활동을 시작했고, 지금 설아는 한 글자 한 글자 한국어를 쓰기도 하고 혼자서 책도 잘 읽는다. 또한 엄마 미숙씨도 복지관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 수업을 받고 있는 등 가정에 조금씩 변화가 오기 시작했다. 어느덧 멘토링을 시작한 지 1년, 22살 막내인 나에게 동생이 3명이나 생겼다. 자원봉사를 시작한 것이 얼마나 가슴 뿌듯한 일인지, 설아와의 만남으로 내 생활도 활기차게 변하고 있다.

 

피부색이 달라서 생기는 또다른 ‘취약’

주위를 둘러보면 외국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특히 성서산업단지가 입주한 달서구는 대구 시내에서도 외국인 인구가 가장 많은 편이며, 외국인 및 다문화가족은 8,943명 (32.1%), 다문화 학생은 1,008명 정도로 추정 된다. 다문화 가정의 결혼이주 여성들 대다수는 언어 소통으로 인한 문제를 겪고 있어 적응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각 기관에서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많은 관심을 쏟고 있지만 모든 다문화 가족이 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무엇보다도 그 2세들의 교육은 우리 모두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주고 고민도 해 보아야 한다. 부모의 낮은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 얼굴색이 다르다는 문제로 왕따, 따돌림, 폭행 등 학교 부적응이 일어나고 있으며, 또 다른 취약계층을 형성하는 사회문제가 발생되어 이를 위한 해결방안이 필요했다.


꿈을 그리는 봉사, 꿈을 이루는 멘토링

‘하모니 멘토링 봉사단’은 2019년 1월 초·중·고·대학교, 사회복지시설 등과 연계하여 공개모집을 실시했고, 다문화 자녀와 지역의 대학생 등 청년봉사자 100쌍이 1:1결연으로 만남을 시작하게 됐다. 매주 1회 멘티의 가정을 방문하여 소소한 일상부터 학교생활까지 이야기를 나누거나, 부족한 학습을 도와줬다. 또한 지역 후원자의 도움으로 가족 놀이공원 체험, 1박 2일 캠프, 슬라임, 쿠킹클래스 등 문화 멘토링으로 다양한 추억을 만들 수 있었다. 타 지자체와 차별된 청년 리더로 구성된 코디네이터 네트워크를 구축해 멘토링 활동관리, 정보교환 소통으로 멘토와 멘티를 더 끈끈하게 묶어주고 있다. 「하모니 멘토링 봉사단」은 청년이 가진 교육 재능을 나누고, 지역사회가 후원자와 함께 참여하기 때문에 많은 예산과 행정력이 소요되지 않는다. 민관이 협조하여 교육·경제적으로 취약한 계층인 다문화 청소년에게 교육 나눔을 실천함으로써 다문화 청소년의 학습 성취도 향상, 위험행동 예방, 자신감 및 재능을 적극 발굴하는 좋은 사례가 되고 있다 . 이렇듯 지역사회가 우리와 다름을 특별히 여길 줄 아는 열린 마음으로 함께한다면 다문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부적응, 일반학생과의 교육적 격차 문제는 점차 해소될 것이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2019 정부혁신 사례집(웹용 저용량).pdf
8.59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