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아이, 병원아동보호사가 돌봐줘요.
경상남도 창원시 여성가족과 병원아동돌봄서비스란? 맞벌이가구 또는 저소득층 가정의 아이가 아파서 병원에 입원하면 병원아동보호사를 지원하여 아픈 아동을 대신 돌봐주는 서비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
나는 회사를 다니면서 7살 아들을 키우고 있는 ‘워킹맘’ 김혜진이다. 대학 때 기계공학을 전공한 공대생이었지만, 지금은 전공과 상관없이 법무사 사무실에서 경리·회계업무를 맡고 있다. 처음부터 전공과 관련 없는 일을 한건 아니었다. 대학 졸업 후 전공관련 회사에 바로 취업해서 일했지만 결혼하고 출산 후 직장을 그만둘 수 밖에 없었다. 아이가 3살 되던 해에 수족구병, 폐렴 등으로 자주 입원했는데 매번 연차를 낼 수도 없었고 부모님이 연로하셔서 아이를 맡길 수도 없었기 때문이다. 아픈 아이를 떼놓고 간다는 죄책감도 일조했다. 아이가 어느 정도 자라서 다시 취업하려고 했을 땐, 경력이 단절되어 나의 커리어나 전공에 맞는 일을 구할 수 없었다.
아이돌보미, 산모도우미 등은 운영되고 있지만 정작 가장 손길이 필요한 입원아동돌보미(아동간병인)는 없는 현실이다. 이에따라 2019년 8월, 창원시에서 아동전문 간병교육을 이수한 병원아동보호사를 양성하여 ‘병원아동돌봄서비스’를 시행한다는 소식이 들렸다. 병원아동돌봄서비스 시행으로 이제 더 이상 아픈 아이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거나, 간병인을 구하지 못해 힘들어 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또한 3년 전에도 이런 제도가 있었으면 내가 직장을 그만두지 않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도 있지만, 앞으로 이 사업이 잘 시행되고 정착되어 많은 부모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아이키우기 좋은 도시, 자녀 안심케어 협약과
2019년 4월 창원시는 창원대학교, 창원간호사협회, 대한아동병원협회, 삼성창원병원, 창원파티마병원, 한마음병원, 경상대병원 등 8개 기관과 ‘아이키우기 좋은 도시창원, 자녀안심케어’ 협약을 체결하여 병원아동보호사 양성을 위한 민관네트워크를 구축했다. 각 병원과 간호사 협회는 강의, 현장실습 병원 적응 등 모든 교육과정에 함께했고 이론 (110시간) 및 현장실습(20시간)을 수료한 29명의 병원아동보호사를 양성했다. 아이들의 돌봄과 간병에 있어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는 등의 특성이 있어 별도의 전문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전문교육을 수료한 보호사들이 아동병원 등 아동이 입원한 병원과 연계해 간병서비스를 제공한다.
일·가정 양립 지원과 일자리 창출
2019년 8월 19일부터 창원YWCA를 수행기관으로 지정하여 사업을 시작했으며, 이용자수와 문의건수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엄마와 아빠 모두 휴가 내기 어려운 경우, 형제·자매가 어려 간병이 불가능 한 경우 등 다양한 수요자들이 서비스를 이용하며 만족도는 매우 높다. 또한 아동 간병 돌봄 의사가 있는 여성에게 교육지원과 능력개발을 제공하여, 새로운 돌봄일자리를 창출하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현재 병원아동보호사로 근무 하고 있는 신은주(56세/여)씨는 “평소 아이를 매우 좋아하는데, 특히 병원에 입원한 아이를 간병하고 케어함으로써 뜻깊고 보람된 일이라서 매우 만족한다,”며 “소중한 우리아이가 아플 때, 부모를 대신해서 돌봐줄 누군가가 필요할 때 믿고 찾는 병원아동보호사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복지사각지대 발굴하고 문제해결 나선 장단콩두부 (2) | 2023.12.26 |
---|---|
[혁신사례] 시민과 지역사회가 뭉쳐 학생 생명안전망 구축 (1) | 2023.12.25 |
[혁신사례] 인간의 존엄성 보장을 위한 공영장례 (2) | 2023.12.23 |
[혁신사례]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한 철도역사 정보 서비스 (1) | 2023.12.22 |
[혁신사례] 중증외상환자 살리는 닥터카 (2) | 2023.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