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한 철도 역사 정보 서비스
국토교통부 철도운영과, 행정안전부 철도 역사 교통약자 이동경로 서비스란? 철도 역사의 이동경로, 편의시설, 안전 등에 대한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교통약자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열차 탑승·환승 경로를 알려주는 서비스
지하철 걸음길 앱, 아이와 엄마를 더욱 편리하게!
나는 부산에 살고 있는 2살배기 아기 엄마다. 우리 가족은 아이가 생기고 나서부터 서울이나 다른 지방을 갈 때마다 어떤 교통수단을 이용할 지 늘 고민에 빠진다. 고속열차를 이용하면 시간도 절약되고, 홀로 운전해야하는 아이아빠의 수고도 덜 수 있다. 하지만 유모차와 아기 짐을 잔뜩 들고 철도역사와 플랫폼을 오고 가야한다는 게 늘 마음에 걸렸다. 계단이나 에스컬레이터가 눈 앞에 나타나면 매번 유모차를 접어 들어야하는 아빠, 한 손엔 짐을 잔뜩 들고 한 손으로 아슬아슬 아기를 안아야 하는 엄마. 철도는 아이 키우는 엄마, 아빠에겐 나름의 각오와 도전이 있어야 가능한 교통수단인지도 모르겠다. 지하철역에 승강기가 있다곤 하지만, 처음 가는 역에서 어디 있는지도 모르는 승강기를 찾기란 쉽지 않았다. 그런데 요즘은 다른 지역으로 갈 때 교통수단에 대한 고민이 많이 줄었다. ‘지하철 걸음길 도우미 앱’ 덕분이다. 도우미앱은 유모차를 끌고 지하철을 탑승하거나 환승할 수 있는 위치와 경로를 쉽고 빠르게 안내해 준다. 가까운 화장실과 수유실 같은 편의시설의 위치와 이동 경로까지 확인이 가능해 철도나 지하철 역사는 물론 열차이용이 더욱 편리해 졌다.
교통약자에게 이동경로, 편의시설 정보 제공
우리나라 교통약자는 2018년 기준 29% 수준이며, 향후 고령화 등에 따라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휠체어와 유모차 등을 이용하는 교통약자는 계단, 에스컬레이터 등 역사 (驛舍) 내 일반적인 이동경로를 이용하지 못함에도, 교통약자에게 제공되는 정보가 단순시설현황에 머무르고 있으며, 이마저도 운영자별 개별 홈페이지를 방문해야 하는 등 이용에 불편을 겪고 있다. 이러한 불편을 최소화하고자 국토교통부는 전국 철도역사를 대상으로 정보를 수집하여 표준화 및 통합 정보관리체계를 구축하고, 민간에서 활용이 가능토록 데이터를 공개 하였다. 역사(驛舍) 정보에는 철도역사의 기본적인 도면과 함께 편의시설 위치, 엘리베이터 및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한 이동경로 정보, 발빠짐 사고예방을 위한 탑승위치별 승강장과 차량 간격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교통약자가 플랫폼(다음맵)과 앱에서 편리하게 이용토록 승객 중심의 편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하철 길안내 서비스 활성화 기대
그간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은 편의시설 설치를 중심으로 추진되었으나, 경로안내 서비스 등 소프트웨어 개발은 미진한 부분이 있었다. 이번 정보공개가 서비스 개발의 마중물이 되어 더 많은 지하철과 길안내 서비스에서 관련 서비스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사회적 가치 실현과 함께 민간의 새로운 서비스 개발과 창업 환경조성 등에 기여하는 공공정보 개방의 선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토교통부와 행정안전부, 철도시설공단은 2019년 11월 22일부터 24일까지 대한민국 정부혁신박람회 전시장에서 교통약자 도시철도(지하철) 이동안내 서비스 체험행사를 실시했다, 방문객들은 출입구와 승강장 간 이동경로, 환승경로 검색 등을 경험해 보았다. 체험에 참여한 방문객들은 정부의 역사 데이터 개방을 통한 지하철 길안내 서비스 활성화와 편리한 도시철도 이용이 기대된다고 소감을 전했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병원아동돌봄서비스 (1) | 2023.12.24 |
---|---|
[혁신사례] 인간의 존엄성 보장을 위한 공영장례 (2) | 2023.12.23 |
[혁신사례] 중증외상환자 살리는 닥터카 (2) | 2023.12.21 |
[혁신사례] 365일 24시 안심아가방 (1) | 2023.12.20 |
[혁신사례] 분만의료 취약지역 임산부 119구급서비스 (1) | 2023.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