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기/행정업무

[혁신사례] 산불확산예측시스템

by 정보알리미! 2023. 11. 3.
반응형

[혁신사례] 산불확산예측시스템

 

첨단 ICT-모바일기술로 산불대응, 안심! 산림청 산불방지과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이란?
산불 위치와 지형, 임상, 기상조건을 토대로 시간대별 산불확산 속도와 방향을 예측하여 GIS 상에서 분석결과를 표출하는 시스템

 

우리마을에 산불이... 부모님은 안전하실까?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회사원 김기상(35세) 씨는 봄철만 되면 강원도 고성에 계신 연로하신 부모님 걱정에 잠을 이루지 못한다. 고성은 지난 3년간 매년 대형 산불이 발생한 곳이라 인근에 산불이 났다는 소식만 들려오면 ‘발생지역이 고향 부모님 댁과 얼마나 떨어졌을까?’, ‘혹시 불길이 그쪽으로 퍼지지 않을까?’ 염려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동안 산림청 누리집을 통해 산불 발생 시간이나 위치는 확인할 수 있었지만, 실시간 산불 정보와 대피 장소는 알 수가 없어 그때마다 산불 진화하느라 바쁜 산림청과 군청에 전화를 걸어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런데 ‘스마트 산림재해 앱’을 알고 나서는 걱정을 크게 덜 수 있었다. 지난 2020년 5월에 발생한 강원 고성 산불이 강풍으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걱정이 많았는데, 스마트폰에 설치한 ‘스마트산림재해 앱’ 덕분에 부모님 댁 주변의 산불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앱과 연동된 내비게이션으로 대피 장소까지 안내받을 수 있어서 기상 씨와 부모님 모두 감탄을 금치 못했다.

 

또한, 산림청은 재난방송사 KBS와의 긴밀한 협력으로 실시간 산불 정보와 대피장소를 신속하게 TV로 방송했고 그 밖의 다양한 온·오프라인 매체를 통해 주민들과 구조기관, 타 지역에 산불상황을 전달했다. 기상 씨는 “만일 앞으로 산불이 난다면 모바일앱에서 알려주는 산불 진행 상황과 대응 방안을 빠르게 알려드리겠다.”라며 부모님을 안심시켜 드렸다. IT 회사에 재직 중인 회사원 기상 씨는 ICT 기술의 응용 분야와 확장성을 잘 알고 있기에 첨단 기술 활용도를 높여가는 산림청의 산불 대응을 지켜보면서 산불로부터 자유 로워지는 날이 머지않았음을 기대하게 됐다.

 

예측 불가능한 산불, 진화와 대피는 신속·안전하게

우리나라 산불은 95% 이상이 사람에 의해 발생한다. 문제는 명확한 인재(人災)임에도 불구하고 언제, 어디서 산불이 발생할지 예측할 수 없다는 것에 있다. 스마트 산불 예방·대응 체계의 구축 목적은 산불 발생을 예측할 수 없더라도 산불의 조기 발견과 신속한 진화를 통해 피해를 최소화함으로써 산불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다. 강원 고성에서 2020년 5월 1일 오후 8시 10분에 발화되어 다음 날 오전 8시에 진화된 산불은 시설물 6동과 123ha의 산림피해를 줬다. 2019년 인근의 비슷한 상황에서 발생한 산불로 1명이 사망하고 시설물 778동과 산림피해 1,267㏊가 발생한 것과 비교하면 괄목할 만한 성과였다. 이는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상황관제, 산불확산예측시스템, ‘스마트산림재해앱’ 등을 통해 산불의 위치, 예상경로 등을 정확히 판단하고, 진화인력, 헬기 등 진화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과학기술에 기반을 둔 국민안전 서비스 확대

산림청은 산불 신고 위주로 개발된 ‘스마트 산림재해 앱’에 정보제공 기능을 추가하여 실시간 발화지, 국민행동요령, 대피 시설 및 산불확산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했다. 특히, 관심지역 설정 기능을 활용하여 타 지역에서도 산불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하였다. 산불확산예측시스템은 산불 위치와 지형, 임상, 기상조건을 토대로 시간대별 산불확산 속도와 방향을 예측하여 GIS상에서 분석결과를 표출하는 시스템으로, 주요 시설물까지 산불 도착 시간과 확산 강도를 알 수 있다. 산불 경로 예측을 통해 진화 헬기와 인력 등 진화자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산불예측 경로에 있는 지역주민들을 신속하게 대피시킬 수 있다. 강원 고성 산불의 성공적 진화를 이끈 다양한 요인들이 있지만, 산불확산예측시스템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산불 대응 체계가 신속히 가동되었던 점과 각 부처의 능동적인 대응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2020 정부혁신 100대 사례집(웹용) .pdf
19.14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