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기/행정업무

[혁신사례] 아이작(AIXAC) 인공지능 물품 판독 시스템

by 정보알리미! 2023. 11. 6.
반응형

[혁신사례] 아이작(AIXAC) 인공지능 물품 판독 시스템

 

인공지능(AI)으로 위험물품 판독 성공률 99.99%에 도전! 관세청 연구개발장비팀


아이작(AIXAC)이란?
세관 물품의 판독과정에 도입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반의 인공지능 물품 판독 시스템으로 은닉된 위험물품을 더욱 정확하게 판독할 수 있는 시스템

 

늘어나는 판독업무, 놓칠세라 노심초사

인천세관 특송센터에서 근무하는 최예리(35세) 주무관은 세관에 들어오는 다양한 물품 속에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총기·폭발물 등의 위험 물품이 은닉되어 있는지, 신발·약병 등에 마약·불법약품을 반입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오감을 총동원해서 X-Ray 판독작업에 임하고 있다. 만에 하나라도 테러물품 하나를 놓치면 그것이 국가 전체의 위기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고 업무에 집중하는 최 주무관, 그녀의 일과는 그래서 늘 긴장감의 연속이다. 그러나 전 세계 각국과의 전자상거래 통관 물량이 해마다 늘면서 판독인원들은 역량에 한계를 느끼곤 한다. 함께 일하는 동료들 모두 “단 하나의 실수도 용납하지 않겠다.”라며 날마다 다짐을 하지만,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는 통관 은닉에 “혹시라도 놓친 것은 없을까?” 하는 염려가 늘 찜찜하게 머릿속에 남는다. 어느 날, 변함없이 두 눈을 부릅뜨고 엑스레이(X-Ray) 판독작업을 하는 최 주무관에게 반가운 소식이 들렸다. 아이작(AIXAC)이라고 불리는 인공지능(AI)기반 위험물품 판독시스템이 세관에 도입된다는 것이다. 이 아이작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우범 물품정보를 학습한 인공지능체계가 먼저 판독작업에 나선다는 점이다. 판독자는 그 식별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종 검사 대상을 선별한 후 미신고·허위신고 물품을 빠르게 특정하고 적발해낼 수 있다. 판독 업무 종사자들 모두 아이작 시스템 도입으로 X-Ray 판독의 정확성과 업무 효율성이 크게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인공지능이 세관 X-Ray 판독관으로 나섰다

해외직구 물품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요즈음, 늘어나는 물류처리 수요와 신속한 통관에 대한 요구로 X-ray 판독 업무는 하루 24시간, 365일 쉬지 않고 운영되고 있다. 그로 인해 특송센터의 담당 직원들은 늘 피로와 사투를 벌인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관세청은 기계학습된 영상정보와 화물정보를 바탕으로 X-Ray 영상을 판독하는 기술인 아이작(AIXAC, AI기반 X-Ray 판독기술)을 한- 아세안 공공혁신 행정박람회에서 첫선을 보였다. AI를 활용한 위험물품 판독시스템 아이작은 인공지능을 활용해서 더욱 정확하게 은닉된 위험물품을 판독할 수 있다 . 아이작의 대표적인 장점은 다양한 품목들을 한 번에 분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일이 수색했던 것을 한 번에 찾게 해 줌으로써 기존의 방식보다 훨씬 힘이 적게 들어가고, 힘든 업무로 인한 사기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위해물품을 보다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적발해낼 수 있다.


AI X-Ray 판독시스템, 세계최초로 특송화물검사에 적용

관세청은 2017년 ‘관세국경관리 고도화를 위한 X-Ray 판독분야 인공지능 구현에 대한 사전연구’를 수행하여 품명 분류와 반입금지물품 검출 업무에 AI 적용 가능성을 확인했다. 나아가 2017년 7월부터 1년 동안의 X-ray 영상 및 화물정보 Data를 받아 2종 이상 혼재된 화물 인식에 대한 인공지능 학습 및 테스트를 수행하여 특송화물 수입검사 분야에서 상용화를 준비하고 실용화했다. 2020년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Data 확보가 쉬운 인천공항 특송물류센터에 인프라를 도입하고 AI X-ray를 활용한 특송화물 검사를 세계 최초로 시작했으며 관련 특허취득도 완료했다. AI X-ray 활용은 기존의 특송화물에 대한 직원의 100% 집중판독업무 방식에서 1차적으로 AI가 마약·총기류 등 우범화물을 선별한 후 2차적으로 담당직원이 우범화물을 집중적으로 판독하고 일반화물은 무작위 판독하는 방식으로 변화시켰다. 사람의 눈으로 일일이 수색했던 위험물품을 AI가 사전에 선별함으로써 세관은 고위험 물품에 역량을 집중하고, 불필요한 검사를 최소화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신속한 통관과정을 담보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2020 정부혁신 100대 사례집(웹용) .pdf
19.14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