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횡단보도 교통사고 없앤 ‘활주로형 횡단보도’ 서울특별시 서초구 도로과
‘활주로형 횡단보도’란?
횡단보도 양옆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점멸형 LED유도등을 설치하여 건널목임을 인지시키는 선진국형 교통안전시설
반짝이는 횡단보도로 안전한 우리 동네
2018년 2월, 벌써 컴컴해진 금요일 저녁 7시경 두 딸 아이를 둔 워킹맘 김횡단(36세) 씨는 여느 때처럼 퇴근 후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을 데리고 나와 인근 마트에 가기 위해 길을 나섰다. 가는 방향에는 차량 운행이 비교적 적은 한적한 도로가 있는데 그녀는 주로 이 도로를 건너 마트에 가곤 한다. 여느 때와 다름없이 그녀는 양손에 아이들의 손을 잡고 길을 건너려고 막 한 걸음을 뗐다. 그런데 갑자기 바로 옆에서 자동차 급브레이크 소리가 들렸고, 이에 놀란 세 모녀는 그만 다리의 힘이 풀려 횡단보도 앞에서 털썩 주저앉고 말았다. 이유인즉슨 횡단보도를 향해 오고 있던 한 차량이 보행자들을 뒤늦게 발견하고 횡단 씨와 아이들의 코앞에서 급정거했기 때문이었다. 운전자는 “이곳 지리에 익숙하지 않았던 데다가 도로 주변의 조도가 낮아, 횡단보도가 있는지 몰랐다”라며 횡단 씨를 부축해 일으키고 연신 사과했다. 횡단 씨와 아이들은 교통사고를 피했지만, 또다시 이런 일이 생길까 봐 어둑한 밤에 횡단보도를 건널 때면 늘 걱정이 앞선다. 그런데 그녀는 얼마 전부터 그런 염려에서 벗어나게 됐다. 대형마트로 가는 도로에 ‘활주로형 횡단보도’가 생겼기 때문이다. ‘활주로형 횡단보도’는 운전자들이 멀리서부터 횡단보도임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비행기가 이착륙하는 공항활주로의 진입조명을 설치해 운전자에게 서행을 유도한다. 그녀는 이제 밤늦은 시간에도 아이들만 마트에 보내도 될 정도로 안심된다고 한다. 앞으로 야간 차량 이동이 많고 교통사고 위험이 큰 지역에 활주로형 횡단보도처럼 안전한 보행 환경이 도시 곳곳으로 많이 확산하였으면 하는 바람이다
횡단보도 보행 중 교통사고 예방에 집중
서울 서초구는 “보행 중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새로운 정책을 시행해 달라”는 민원인 들의 잦은 요청과 그 배경 요인들을 자세히 검토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관내의 크고 작은 교통사고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주간’ 보다는 ‘야간’에 주변 조도가 낮은 ‘비신호 횡단 보도(신호 27%, 비신호 73%)’에서의 보행 중 교통사고 예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서초구는 야간에 주변 조도가 낮은 비신호 횡단보도를 개선하기 위해 선진사례인 점멸· 함몰형 표지병을 한국의 실정에 맞게 보완· 발전시켜 전국 최초로 ‘활주로형 횡단보도’를 설치하게 되었다. 또한 전국적인 확대 설치 방안을 고려하기 위해 경찰청,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관련 규정 개정작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보행 중 교통사고 예방효과 탁월, 전국적 확산에 기여
‘활주로형 횡단보도’는 횡단보도 양옆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LED유도등을 설치하여 건널목임을 인지시키는 선진국형 교통안전시설로, 2021년 2월 현재 서초구 관내 181개소 (2018~2020년, 18억)에 설치되어 있다. 2018년 4월 서초초등학교 주변에 처음으로 설치된 이후 보행 중 교통사고 재발률이 1%에 그쳐 보행 중 교통사고 예방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확인되고, 도로교통공단 효과분석 결과(2019.12)에서도 보행준수율, 차량양보율이 주·야간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년여에 걸친 경찰청과 도로교통공단과의 협업을 토대로 2020.3월에는 관련 규정 (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을 ‘활주로형 횡단보도’ 설치기준에 맞게 개정하여, 전국적 확산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 현재 서울 강서, 금천, 성동, 동작구, 부산, 인천, 대구, 대전, 수원시 등 35개 지자체에서 ‘활주로형 횡단보도’를 도입했다. 서초구는 보행 중 교통사고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입증한 ‘활주로형 횡단보도’가 앞으로 다른 자치구는 물론, 전국의 여러 교통안전 취약지역에 많이 설치되어 국민의 안전에 크게 기여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장애인 취업지원 서비스 이어모아 (1) | 2023.07.21 |
---|---|
[혁신사례]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제도 개선 사례 (2) | 2023.07.20 |
[혁신사례] 기상청 날씨알리미 앱 (2) | 2023.07.18 |
[혁신사례] 국가유공자에게 로봇 의족 지급 (0) | 2023.07.17 |
[혁신사례]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생활기록부 (3) | 2023.07.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