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해외경제정보드림’으로 프랑스에 화장품을 수출할 수 있게 됐어요! / 기획재정부 대외경제총괄과
‘해외경제정보드림’이란?
신뢰성 있는 해외 진출 단계별 정보를 더 쉽고 빠르게 파악하고, 수출국과 품목에 맞는 AI 보고서, 지원 사업 추천, AI 이미지 검색, 해외투자국가 추천 등 맞춤형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범정부 해외 진출 플폼랫
내수기업, 수출에 도전하다
나는 한방 천연 화장품 제조 회사에서 영업 담당으로 일하고 있는 과장 나수출이다. 그간 우리 회사는 제품을 국내시장 중심으로 판매했는데 코로나19로 상황이 어려워지자 사장단에서는 해외판로를 개척해 보라는 특명을 내렸다. 우리 회사도, 나도 수출업무라곤 해본 적이 없는데 과연 할 수 있을까? 나는 의문을 일단 접어두고 수출 전문 기관인 KOTRA 의 홈페이지부터 방문했고, 그곳에서 수출업무의 빛과 같았던 ‘해외경제정보드림’을 접하게 되었다. 나는 해외경제정보드림의 첫 메인 화면을 통해 수출과 해외투자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여기저기 헤맬 필요 없이 56개 기관의 정보가 무료에다 모두 모여있다는 점이 처음 수출업무를 접하는 내게 너무나 유용했다. 며칠 동안 해외경제정보드림에 매달려 화장품 수출 사례와 국가별로 어떤 절차를 거쳐서 수출할지 등을 검색했다. 우리 회사 제품은 수출국 추천 서비스에서 프랑스가 나왔고, AI 생성보고서를 통해 프랑스에 수출할 때 필요한 모든 정보를 한눈에 알기 쉽게 접할 수 있었다. 원산지 증명과 각종 인증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았지만, 뚝심으로 헤쳐나갔고 우리 회사는 코로나19 시국에서 난생처음 수출에 성공할 수 있었다.
다양한 무역 투자 관련 해외정보를 한곳에서 제공
우리나라에는 정말 많은 기관, 연구소, 기업에서 해외정보를 생산하고 있다. 약 131개 기관의 191개 시스템에 1,130종의 정보가 산재해 있어 국민과 수출중소기업 입장에서는 필요 정보를 찾아보는 것이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특히 소상공인 등 수출희망 영세기업의 경우에는 정보탐색 비용이 부담이고 국가나 지자체의 관련 지원사업을 찾기가 힘들어 활용에 애로가 있다. KOTRA는 국가무역 투자 진흥을 담당하는 정부 기관 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여러 전문 기관, 기업, 연구소의 해외정보를 통합하여 국민에게 제공하는 ‘해외경제정보드림’온라인 플랫폼을 조성했다.
[ 해외경제정보드림의 해외정보 제공 서비스 ]
▲ (찾아보고) 각 기관에서 생산한 정보들을 연동하여 한곳에서 제공
▲ (물어보고) 기업의 궁금한 사항도 한곳에서 문의 접수·해소, 해외 유망시장 추천, AI 해외 시장 보고서 제공
▲ (신청하고) 기업의 역량에 맞추어 기관별 지원사업을 추천·신청
우리 기업의 수출경쟁력 지킴이 ‘해외경제정보드림’
해외경제정보드림은 해외정보를 통합 제공하기 위해 민관을 아우르는 협업 거버넌스를 구축했다. 산자부, 과기부 등 정부 부처와 수출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 등 해외정보, 수출 관련 기관과 정보제공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 ’21년 12월 공식 사이트를 개설한 이후 총 79개 양해각서 체결 기관 중 우선 56개 기관에서 해외 진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후에도 지속해서 정보 제공처를 늘려나갈 계획이다. 수출을 희망하는 기업은 해외경제정보드림을 통해 해외 진출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누구나 수출할 수 있는 온라인 수출 시대를 맞아 해외정보의 문턱과 비용을 크게 낮춰줄 것이다. KOTRA와 협업 기관들은 우리 기업들이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얻어 같은 제품을 수출하는 다른 나라의 기업들보다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플랫폼을 계속 고도화해나갈 계획이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상조상품 예상 해약환급금 계산기 (3) | 2023.04.21 |
---|---|
[혁신사례] 비대면·디지털 전환의 물결, 디지털 신원증명과 함께 (0) | 2023.04.20 |
[혁신사례] 클릭 몇 번이면 ‘정책자금’ 신청 끝! (0) | 2023.04.20 |
[혁신사례] 먹거리통합지원센터 우수 식재료 학교 급식 (0) | 2023.04.20 |
[혁신사례] 모바일 생태계에 공정! 인앱 결제 강제 금지법 (1) | 2023.04.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