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기/유익한 정보

치과임플란트 급여 안내(대상 나이, 종류 등)

by 정보알리미! 2022. 12. 15.
반응형

 

노인의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는 치과 진료와 임플란트같은 치료가 상당히 효과가 큽니다.

이가 불편하면 먹는거 뿐만아니라 생활도 불편하죠. 나라에서 다행히도 임플란트에 대해 급여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대상자가 모두 다르긴 합니다. 해당 정보를 파악해서 임플란트를 생각하는 가족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목적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의 일환으로 노인의 저작기능 개선을 통한 건강증진 및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기 위함


치과임플란트란?
치아가 빠진 경우 인공치아를 심어서 빠진 치아를 대체해 주는 치료방법
티타늄 합금으로 만든 인공치근(뿌리)을 턱뼈에 고정 시킨후 연결기둥(지대주) 위에 인공치아를 연결하여
상실된 치아의 기능 회복함


급여내용
가. 대상자
만 65세 이상('15.7.1 이전 : 만75세 이상, ’15.7.1~‘16.6.30. : 만70세 이상) 건강보험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적응증 : 부분무치악 환자(완전무치악 제외)
시행시기 : 2014. 7. 1.
나. 급여 보장 범위
급여적용 개수 : 1인당 평생 2개
※ 치과의사의 의학적 판단 하에 불가피하게 시술을 중단하는 경우 평생인정개수에 포함되지 않음.
상·하악 구분 없이 모든 치식부위에 급여적용 (cf. '15.7.1 이전 : 구치부(어금니)에 급여하되, 전치부(앞니)는 구치부에 식립이 곤란하다고 치과의사가 판단한 경우에 한하여 급여 적용)
급여재료
식립재료 : 분리형 식립재료
보철수복재료 : PFM crown (비귀금속도재관)
부분틀니와 중복급여 허용
아래 중 하나에 해당하는 65세 이상 치과임플란트 시술은 시술전체 비급여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시술하는 경우
상악골을 관통하여 관골에 식립하는 경우
일체형 식립재료로 시술하는 경우
보철수복 재료를 비귀금속도재관(PFM crown)이외로 시술하는 경우
다. 본인부담률
건강보험가입자 : 요양급여비용 총액의 30%
차상위 대상자 : 희귀난치성질환자(C) 10%, 만성질환자 등(E, F) 20%
※ 본인부담상한제 제외
※ 의료급여대상자 : 1종 10%, 2종 20%
라. 진료단계
진료단계
단계 진료내용
1 진단 및 치료계획
2 고정체(본체) 식립술
3 보철 수복
마. 치과임플란트 유지관리
보철장착 후 3개월 이내 : 진찰료만 산정
보철장착 후 3개월 초과하는 경우
보철수복과 관련된 유지관리는 비급여
치과임플란트 주위 치주질환 등으로 처치 및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해당 급여항목으로 산정

 

치과임플란트 건강보험 급여신청 방법 및 절차
① 대상자판정
치과 병·의원
② 등록신청
환자
(치과에서 대행)
③ 등록결과 통보
공단
④ 시술
치과 병·의원
① 치과 병·의원에서 진료 후, 치과임플란트 급여대상자 판정
② 환자는 치과임플란트 시술 받을 요양기관에서 등록 신청 : 치과 병·의원에서 요양기관 정보마당 통해 등록
요양기관이 확인한「건강보험 치과임플란트 대상자 등록신청서」를 공단(지사)에 제출하여 등록 신청이
가능하며, 의료급여 수급권자의 등록신청은 관할 보장기관(시군구)에서만 가능합니다.
③ 등록신청 접수 및 등록결과 통보
④ 치과 병·의원에서 ‘(신)요양기관정보마당-치과치료-임플란트-임플란트대상자자격조회’ 화면에서 등록여부 확인 후 시술


출처

https://www.nhis.or.kr/static/html/wbma/c/wbmac0221.html

 

치과임플란트 급여안내

2 고정체(본체) 식립술

www.nhis.or.kr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