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편의지도는 우리 모두를 위한 배려입니다
강원도 경로장애인과 장애인 편의지도 사용자가 가장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과 웹을 통해 장애인 편의시설 정보를 제공하는 지도
배려가 있는 강원도 여행
오늘은 김씨 지인이 패럴림픽 휠체어 컬링 대회 경기에 출전하는 날이다. 김씨는 친구 들과 함께 지인의 경기를 관람하기 위해 강릉으로 출발한다. 서울에서 KTX를 타고 2시간도 걸리기 전에 도착하여 경기를 관람하러 컬링경기장으로 향한다. 가는 길에 시간이 남고 식사시간이 겹쳐 김씨 일행은 처음 온 강릉에서 식사를 해결할 가게를 찾아야 하는데 강릉 음식점에 대한 정보가 없다. 평소 같았으면 김씨 일행은 휠체어를 타고 다니기에 가게 진입이 수월하고 입식이 가능한 넓은 공간이 확보된 식당, 그리고 장애인용 화장실 등이 제공되는 곳을 찾아서 이용해야하기에 마땅한 가게를 찾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번 2018 동계 패럴림픽대회를 대비해 강원도에서는 장애인 편의지도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여 편의지도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스마트폰에 설치 해왔다. 김씨는 자신이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일정거리 주변에 어떠한 업소들이 있으며 그 반경 내의 업소마다 어떠한 장애인 편의시설이 구비되어 있는지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편리했다. 게다가 장애인들 마다 업소 이용 시 필요한 편의시설이 다르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편의시설의 항목을 선택하여 검색하면 그 시설을 갖춘 업소들을 찾아 볼 수 있어 상당히 만족스러웠다. 평소 같았으면 낯선 지역에 가게 되면 일일이 업소에 전화를 해서 이용할 수 있는 편의 시설이 있는지 확인을 해보고 찾아가는 식이라 정보의 정확성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힘들었을 것이다. 김씨는 이번 올림픽을 계기로 앞으로 더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는 편의지도가 구축되어 강원도를 찾는, 또는 거주하는 장애인들이 장애 없는 강원도를 즐길 수 있기를 기대해
패럴림픽을 계기로 시작된 무장애 올림픽
강원도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을 무장애올림픽을 개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는 도민, 장애인 관광객, 동행하는 가족과 지인 등 모두가 이용가능한 시설을 제공 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판단했다. 머무는 동안 가까운 시설을 검색하고 이용이 가능한 지 확인할 수 있어야 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언제 어디에 있는지와는 무관하게 가장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과 웹을 통해 장애인 편의시설 정보가 실린 지도를 제작하여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었다.
무장애 지역으로 거듭나는 강원도
먼저 장애인 편의지도 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도 제작의 가장 첫 번째로 커뮤니티라는 컨셉을 적용했다.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현장을 다니며 눈으로 보고 몸으로 느낀 정보를 지도에 등록 하여 서로 공유하는 방식이다. 강원도 올림픽 개최지 주변 지역의 시설들에 대한 정보 중에 실사용자 들이 필요한 편의시설 컨텐츠를 미리 검색하거나 내주변 가장 가까운 위치의 시설을 찾아갈 수 있도록 서비스를 구축했다. 강원도를 찾은 관광객들의 시간과 노력의 수고를 덜어주어 방문자들에게 무장애 올림픽(패럴림픽) 대회 이미지 제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강원도는 앞으로 이러한 올림픽 유산을 계승하여 편의지도 제작을 전 시·군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강원도 거주자 및 방문자들의 이동권 뿐만이 아니라 이용 시설에 대한 접근권이 보장되어 도내 어디를 가든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할 예정이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혁신24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발간자료를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전자파 안심 서비스 (2) | 2024.07.16 |
---|---|
[혁신사례] 지문정보 공유로 운전면허증 도용 걱정없어요 (0) | 2024.07.15 |
[혁신사례] 플라스틱 없는 생태도시 (0) | 2024.07.10 |
[혁신사례] 공공택시 철도연계서비스 (2) | 2024.07.09 |
[혁신사례] 다부처 협업해서 119전문인력 확보했어요 (0) | 2024.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