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을 접목하여 공공의료복지 실현
서울특별시 은평구 전산정보과 클라우드 기반 AI(인공지능) 보건소 영상분석 보조서비스란? 전국 보건소 어디서나 인공지능(AI)을 통해 X-Ray 영상을 빠르고 정확하게 분석하여 폐암, 기흉, 결핵, 폐렴 등의 질환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
4차 산업혁명기술과 공공보건의료복지의 만남
지방 소도시에서 거주하는 김보건 씨는 요식업에 종사하면서 아내와 단둘이 살고 있다. 김씨는 아내의 권유로 몇 년 전 보건소 금연클리닉을 다니며 금연하게 되었지만 매번 뉴스에서 우리나라 암 사망률 1위는 폐암이라는 보도를 볼 때마다 걱정이 앞섰다. 게다가 몇 해 전에는 같이 살던 장인어른이 폐암으로 돌아가시기도 했다. 폐암은 X-Ray 를 찍어서 확인할 수 있지만 장인어른은 병변이 상당히 진행된 후에 암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인구가 적은 소도시라 아플 때 갈 수 있는 곳이라고는 인근의 보건소뿐인 김 씨와 아내는 혹시라도 김 씨가 장인어른처럼 폐암이 생겼을 때 뒤늦게 발견할까봐 걱정을 했다. 올해도 그는 아내와 요식업종 보건증 발급을 위해 보건소에서 X-Ray 검진을 받았다. 그런데 올해는 더 빨리 X-Ray 검진 결과가 나왔다고 했다. 작년까지는 X-Ray 판독을 외부 전문병원(전문의)에 맡겨 하루 정도 시일이 더 소요됐는데, 올해부터는 AI(인공지능) 영상판독 보조 기계가 도입되어 영상을 넣으면 20초 만에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보건소 의사의 설명을 들었다. 이 AI 영상판독 보조 기계는 정확도가 높아 의사도 판독하는데 한결 편해졌다고 했다. 김씨와 아내는 요식업종사자 보건증을 받아보고 새로운 내용이 들어간 것을 확인했다. 예전에는 X-Ray 영상의 결핵 감염 유무만 판독해줬는데, 이젠 모든 폐질환(폐암, 결핵, 기흉, 폐렴 등)에 대해 94%의 정확도로 AI가 영상판독으로 확인해 준 것이다. 이젠 가까운 보건소에서도 결핵뿐만 아니라 기흉, 폐렴, 폐암 등 각종 폐질환을 빠르게 잡아낼 수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든든해졌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료사각지대 해소
보건소는 각 지역의 의료 Hub역할을 수행하며 공공의료를 최일선에서 담당하는 기관이다. 다행히도 서울시 25개 구 보건소는 X-Ray를 판독하는 의사가 있지만, 지방이나 취약지역의 보건소 및 병원은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어 부족한 의사를 대체하기 위해 공중보건의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국가 병역자원 감소 등으로 고품질 서비스 제공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은평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한국정보화진흥원 수행) ‘2019년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컨설팅 및 선도 프로젝트’에 선정되어 AI 보건소 서비스를 2019년 9월부터 도입하게 되었다.
전국 어디서나 누리는 의료복지
서비스 도입 전, 보건소에서는 X-Ray를 결핵 위주로 판독하거나 외부 전문병원에 의뢰하여 하루 경과 후 결과를 받았다. 시스템 도입 후에는 AI 알고리즘이 20초 이내 모든 주요 폐질환(폐암, 결핵, 기흉, 폐렴)을 대학병원 전문의 판독 정확률인 평균 89%이상보다 높은 94%의 정확도로 판독해 혁신행정을 선도했다. 은평구 보건소 의사도 분석 결과에 매우 만족감을 표했고, 은평구의 성공사례를 접한 타 지역 보건소에서도 도입하고 싶다는 문의가 많았다. 이번 사업은 은평구에서 진행한 다른 공모 시범사업(10년간 약 13건 첨단정보기술 과제 수행)과 다르게 4차 산업혁명의 의료기술을 주민의 생명, 복지와 직접적으로 연관하여 혁신을 주도한 것이다. 은평구의 AI 보건소 시범사업의 성공사례가 국내 시장뿐 아니라 해외 시장 확대의 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철도역 어린이집 (1) | 2024.01.04 |
---|---|
[혁신사례] 성동 원플러스원 (1) | 2024.01.03 |
[혁신사례] 기업인력애로센터 (1) | 2024.01.02 |
[혁신사례] 청소년자율문화공간 언더랜드 (2) | 2024.01.01 |
[혁신사례] 가상현실 스포츠실이란 (1) | 2023.12.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