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까지 생각한 초등 돌봄교실 과일간식
농림축산식품부 원예경영과 초등 돌봄교실 과일간식과 생분해컵 전국 초등학교 돌봄교실 학생 24만명에게 건강한 제철 과일을 간식으로 제공, 2019년부터 플라스틱 컵에서 생분해 컵으로 교체하여 환경 부담 제로화
아이들이 과일 나오는 날만 기다려요
지난 10일 오후 간식시간에 충북의 한 초등학교 돌봄교실 아이들에게 인근 지역에서 생산한 사과가 제공됐다. 아이들이 먹기 쉽게 조각 낸 사과 150g이 투명한 플라스틱 컵에 담겨 밀봉된 형태였다. 돌봄교실은 맞벌이, 한 부모 가정 등을 위해 정규 수업이 끝난 학생들을 오후 늦게까지 돌봐 주면서 오후 3시 전후로 간식을 제공한다. 그동안 제공된 간식은 아이들의 허기를 달래주면서 간편하게 나누어 줄 수 있는 빵, 과자 등이 대부분이었는데 작년부터 인근 지역에서 생산한 제철 과일이 주 1회 무상 제공되고 있다. 아이들은 싱싱한 조각 사과를 먹으며 만족스러운 표정으로 가득하다. 남○○(8)양은 ‘껍질째 먹어서 영양분이 많을 것 같다’고 말했고 지○○(8)군도 “원래 과일을 많이 먹지 않는데 친구들이랑 같이 먹어서 정말 맛있다”며 밝게 웃었다. 이 학교의 돌봄교사들은 ‘과일간식이 나오는 날을 기다릴 정도로 아이들의 반응이 좋다”며 “신선한 과일이 직접 학교로 배달되고 간단하게 1인용 용기로 제공돼서 교사 입장에서도 번거로움을 줄였다’고 입을 모았다. 한편 학교는 올해 하반기부터 기존에 학생들이 쓰던 플라스틱 컵을 100% 자연분해되는 생분해 플라스틱 컵으로 교체하는 등 친환경 학교 만들기 캠페인에 앞장서고 있는데, 생분해 컵을 활용해 환경 보전 교육을 하거나 아이들이 좋아하는 슈퍼잭을 활용한 식생활 교육 교재로 건강한 식습관 형성 교육을 하고 있다고 한다. 학부모들의 만족도도 높다. 1학년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홍모씨는 ‘맞벌이로 아이에게 몸에 좋은 간식을 챙겨주지 못해 마음 쓰였는데, 학교에서 매주 신선하고 품질 좋은 제철 과일을 제공해줘서 매우 만족스럽다’며 ‘과일 간식으로 아이들의 건강도 챙기고 우리 과수 농가에도 이익이 된다고 하니 모두가 만족하는 상생모델이다’라며 고마움을 전했다.
아이들과 지역농가 모두 만족
패스트푸드, 탄산음료를 선호하는 식습관으로 어린이들의 비만율이 지속 상승하여 사회경제적 비용이 커지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하루에 최소 400g의 과일과 채소를 섭취할 것을 권장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6~11세 아이들의 과일·채소 섭취량은 352g에 그쳤다. 한편 수입산 등으로 국산 과일 소비는 갈수록 줄어들어 과수 농가는 적잖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2018년부터 전국 5,296개 초등학교 돌봄교실 24만 명의 아이들에게 주 1회 이상 신선하고 품질 좋은 과일간식을 조각 과일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생분해 컵으로 환경부담도 최소화
초등학교 돌봄교실 과일간식에 대한 학부모, 학생과 농업인의 만족도가 높았지만, 조각과일을 담는데 플라스틱 컵을 연간 720만 개나 사용하다 보니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되었다. 농식품부는 플라스틱 사용으로 인한 환경 위해성을 선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포장용기 연구기관·제작업체, 과일간식 공급업체 등과 해결방안을 논의했다. 그 결과 전문기관을 통해 안정성과 적합성을 검증한 후 2019년 9월부터 인체·환경에 해가 되지 않는 100% 자연분해 되는 생분해 플라스틱 컵(PLA)으로 전량 교체하여 공급하게 되었다. 생분해 플라스틱(Poly Latic Acid, 폴리젖산)은 옥수수에서 녹말을 분리한 후 포도당을 발효해 젖산을 응축해 만든 친환경 수지다. 환경까지 생각한 과일간식 제공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는 더 커졌다. 아이들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과 함께 국산 제철 과일의 안정적 판로를 확보하고 환경 부담도 없는 ‘일석삼조’의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정책자료 메뉴에 간행물을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청소년자율문화공간 언더랜드 (2) | 2024.01.01 |
---|---|
[혁신사례] 가상현실 스포츠실이란 (1) | 2023.12.31 |
[혁신사례] 강원도형 일자리 안심공제 (2) | 2023.12.29 |
[혁신사례]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 은퇴자 공동체 마을 (1) | 2023.12.28 |
[혁신사례] 교육으로 하나되는 하모니 멘토링 (2) | 2023.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