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기/행정업무

[혁신사례] 교통약자 여러분 포티와 함께 꽃길만 걸으세요

by 정보알리미! 2024. 5. 24.
반응형

[혁신사례] 교통약자 여러분 포티와 함께 꽃길만 걸으세요

포티케어서비스란?

교통약자 여러분 포티와 함께 꽃길만 걸으세요 한국공항공사 서비스개발팀 포티케어서비스란? 포티는 한국공항공사의 공식 마스코트이며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영유아 등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김포공항역에서 항공사 카운터까지 이동을 지원하는 서비스

 

포티케어 덕분에 마음 편히 갑니다.

매서운 추위가 엄습한 지난 겨울, 김포공항 내부에 위치한 대형전문 병원. 척추수술을 위해 여수에서 비행기를 타고 올라온 A씨(73)와 아들 B씨(38) 얼굴엔 지친 기색이 역력 하다. 성치 않은 몸으로 병원까지 힘겹게 이동했던 탓이다. 공항 도착장에서 병원까지는 이동로가 꽤 긴 편이다. 거리가 족히 2km가 넘는다. 척추가 불편한 A씨도 힘들뿐더러 보호자인 B씨 역시 어머니를 부축하며 이동해야 했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까지 다시 이동해야 하는 여정이 걱정이다. 이때, 간호사가 환한 미소로 다가와 한국공항공사에서 진행하는 포티 케어 서비스를 소개했다. “우리 어머니도 몸이 불편하신데, 김포공항에 오실 때마다 포티 케어 서비스를 이용하셨어요.” 간호사가 알려준 대로 B씨는 1661-2626으로 전화해서 포티케어 서비스를 예약했다. 약속장소로 가보니 포티 케어 전문요원이 이미 대기 중이다. 전문요원들은 따뜻한 미소로 모자 일행을 엘리베이터까지 안내했다. 엘리베이터 문이 열리자 파란색 포티 케어 전동 승용카트가 두 모자를 기다리고 있었다. 전문요원들은 A씨가 무사히 전동승용카트로옮겨 앉을 수 있도록 도왔다. 아들 B씨가 무사히 뒷좌석에 옮겨 앉자 공항 청사로 출발 했다. 포티케어 덕분에 두 모자 일행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었다. “포티 케어 덕분에 마음 편히 집으로 돌아갑니다. 정말 감사합니다!”출발장으로 돌아 가는 모자를 보며 포티케어 전문요원들은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다짐해 본다.

 

일본에서도, 당일신청도 가능

김포공항은 지하철역 연결통로부터 여객청사까지 왕복 2km이 넘을 정도로 동선이 긴 편이다.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과 임산부 등 교통약자 이동시 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도 대단히 불편했다. 한국공항공사는 장애인, 노약자, 임산부 등 교통약자가 공항을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는 배리어프리(Barrier Free) 공항을 실현하고자 지난 2015년부터 포티케어 서비스를 본격 추진하게 되었다. 일본 하네다공항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여 하네다공항을이용하는 교통약자 역시 이동편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최소 2~3일 전 유선으로 예약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당일 신청도 가능할 수 있도록 기준을 완화하는 한편, 기존 자원봉사자 체계에서 전담 인력 운영제로 변경하여 전문성을 제고하였다. 김포국제공항 지하 연결통로 중앙지역에 ‘서비스 카운터’를 설치하여 고객이 기다리는 곳으로 달려가는‘찾아가는 현장서비스’도 시행 하였다.


시니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한국공항공사 - NGO단체(함께 일하는 재단) 간 업무협약을 체결함과 동시에, 재단 에서 선정한 사회적 기업‘리베라빗’에서 포티케어 서비스 전문인력을 채용하였다. 전담 인력 50%를 60세 이상 고령층으로 채용하는 등 시니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였다. 포티케어 서비스를 확대하고자 이동편의시설을 개선했다. 전동식 승용카트 2대를 도입하여 이동편의 실효성이 증대되고 이동시 체감시간도 훨씬 단축되었다. 김포공항 지하 연결통로 중앙지역에 ‘포티케어 서비스 카운터’를 신규 운영하여 사전예약 접수 및 즉각적인 현장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포티케어 서비스 전문인력제를 운영하여 서비스 인력 전원은 케어서비스 교육을 의무적으로 이수했다. 2018년 한해 포티케어 서비스 이용실적은 총 7만6,870회(10월 누적분), 일 평균 281건으로 사용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혁신24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발간자료를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정부혁신 100대 사례집(외부용).pdf
3.99MB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