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쳐드리고 도와드려요, 우리 동네 관리소
경기도 시흥시 도시재생지원센터 동네 관리소는? 마을 주민이 중심이 되어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간단 집수리를 진행하고 무료로 공구를 대여하는 등의 공공서비스를 제공
전구도 갈아 드려요
나는 우리 동네를 지키는 시흥시 동네관리소다. 마을 대소사에 관한 일이라면 나는 가리지를 않는다. 전기가 깜빡인다는 것이다. 댁이 어디냐고 물으니 정왕역을 지나 마유 로를 따라 쭉 가다보면 정왕교가 나오는데 거기서 또 바로 좌회전 하여 주유소 뒤로 난 길을 따라 산속으로 들어가면 집이 있다는 것이다. 출동이다! 동네관리소 한 쪽 벽에 늘어선 공구들 중 드릴과 펜치를 집어 들고 어떤 것일지 몰라 전구도 종류별로 여러 개 챙겼다. 부르릉 시동을 켜고 출발한다. 정왕교에서 좌회전 하고 부터 길 없는 길이다. 운영하지 않는 주유소 자리를 찾아 좌회전 하니 도대체 길이 있나 싶게 산으로 이어진다. 이 길이 아닌가? 조금 더 들어가니 금방이라도 무너질 것 같은 집이 있었다. 살펴보니, 비가 오면 천정으로 물이 새 아예 전기선을 잘라버린 채였다. 전기선을 연결 하고 몇 번을 뜯었다 붙였다하고서 전구를 끼우니 드디어 온 방이, 온 밖이 환하다. 그럼 여지껏 밤에 어떻게 사셨냐고 물으니 빙긋이 웃는다. 도착했을 때도 나와 보지 않던 어르신은 자리를 나설 때도 나와 보지 않는다. 다리가 많이 불편하신게다. 문득 끼니는 어떻게 해결하시지? 하는 생각이 드는 걸 보니 오늘부터 해야 할 일이 하나 더 생겼다.
이웃과 소통하는 복합커뮤니티 공간
‘시흥시 동네관리소’는 주택관리 사각지대인 일반주택지역의 주거여건과 마을환경 개선을 위해 시작되었다. 시흥시의 구도심은 주택관리 사각지대였으며, 일반주택지역의 주택노후, 기반시설 부족으로 인하여 폐·공가의 증가에 따라 도시가 더욱 쇠퇴하는 악순환 방지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판단이었다. 시흥시 동네관리소는 마을주민이 중심이 되어 주거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간단집수리를 진행하고 무료로 공구를 대여하는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공동 아동 돌봄, 문화예술프로그램 진행, 동네소식지 발행 등 이웃과 소통하는 동네 문화를 새롭게 만들어 나가는 ‘복합커뮤니티공간’의 역할을 한다. 그 외에도 무인택배, 봉사단 운영, 환경정비 등 ‘주민들이 필요로 하는 사항’들을 주민 주도로 발굴하고 운영 중이며 동시에 마을관리기업 전환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마을 활동의 기반을 조성해 나가고 있다.
진정한 주민자치 실현. 동네관리소
2010년 시흥시에서 시작된 ‘희망마을만들기’의 주민 공모사업으로 2015년부터 뿌리 내리기 시작한 것이 시흥시 동네관리소이다. ‘시흥시 동네관리소’는 2015년 2개소의 시범운영으로 시작해 현재 11개소(신천동네 관리소, 매화동네관리소, 군자동네관리소, 신현동네관리소, 오이도동네관리소, 월곶동 네관리소, 맞손정왕본동, 꿈빛과림동네관리소, 다다동네관리소, 한마음이랑동네관리소, 정이가는마을동네관리소)를 운영 하며 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동네관리소는 취약계층 간단집수리, 무료 공구 대여, 택배보관소, 다채로운 문화프로 그램 운영, 동네정화활동 등 더 나은 ‘우리 동네’를 만들기 위하여 주민이 주도적으로 마을의 주거환경 개선과 주거복지서비스를 해결해 나가고 있다. 또한 동네관리소는 특성에 따라 지역마다 다른 이름을 가진 것처럼 동네바다 운영방식도 조금씩 다르다. 초등학교와 인접하다는 특성이 있는 신천동네관리소는 성인뿐만 아니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방과후 아동 돌보미 역할도 하고 있으며 다문화 가정이 많은 정왕동의 경우 한국 생활의 적응을 위한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시흥시 동네관리소는 주민들의 선제적으로 동네의 문제점을 발굴하여 대응하는 자발적 이고 능동적인 자치활동이며 우리 동네를 가장 잘 아는 주민의 참여를 통해 주민이 주인이 되는 진정한 주민자치를 실현해 가고 있다.
우리가 정부혁신에서 배울 점
우리가 생각하기에 정부가 하는 일이나, 특히 공무원들이 하는 일들은 보통 수동적이고 사회변화를 못 따라간다는 편견을 갖고 있을 때가 많습니다. 하지만 수동적인 인상은 관련 규정이나 정책 등을 지켜야하는 일들이 많고, 관련 분야가 다양하기 때문에 행정관련 업무에서 생겨나는 편견이라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실제 정부에서는 사회 변화에 따라가기 위하여 다양한 혁신도 변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관련 업무를 하는 곳에서 배우고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업무를 하며 변화를 두려워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하여 이러한 정보를 찾아보고는 합니다. 오늘부터는 그래서 다양한 변화 정부혁신 사례 100가지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출처는 혁신24 홈페이지입니다.
홈페이지 발간자료를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오늘 자료 역시 이곳에서 받았습니다. 원본 자료 PDF 파일도 첨부하오니, 관심 있는 분은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두기 > 행정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사례] 농업인 사회안전망 구축 (1) | 2024.06.03 |
---|---|
[혁신사례] 혐오공간의 대변신 전피화 사업 (0) | 2024.05.31 |
[혁신사례] 키즈 실버 어울림 센터 (0) | 2024.05.29 |
[혁신사례] 희귀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을 선물하다 (0) | 2024.05.28 |
[혁신사례] 농어촌 인력난 해소를 위한 외국인 계절근로자 제도 (1) | 2024.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