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를 부위별로 각각 산정 가능할까요?
위, 대장 내시경 시술 연속 시행 시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를 부위별로 각각 산정 가능할까요?
답변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183호(2021.7.1.시행) 급여기준에서는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나799)는 소화기ㆍ기관지 내시경 검사 및 시술 시의 환자관리 행위로서 환자평가 및 설명, 진정 유도 및 활력징후 감시, 진정 각성 및 회복 등의 과정을 시행한 경우에 산정가능하며, 해당 검사 및 시술은 「건강보험 행위급여ㆍ비급여 목록표 및 급여 상대가치점수」제1편제2부 제2장(검사료) 또는 제9장(처치 및 수술료 등)에 분류된 행위 중 다음에 해당하는 경우 요양급여하고,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급여함.으로 정하고 있으며,
급여대상 및 범위는 1)「본인일부부담금 산정특례에 관한 기준」에 따른 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희귀질환, 중증난치질환, 결핵질환자가 산정특례 적용기간에 내시경 검사나 시술을 위해 진정을 실시한 경우, 2)그 외의 환자는 상기 가.의 행위 중 치료를 목적으로 한 시술 시에 진정을 실시한 경우로 정하고 있으며,
수가산정방법은 다.2)위ㆍ대장 내시경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 소정점수 100%로 산정하고, 제2의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는 소정점수 50%를 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관련 고시에서 정한 급여대상에 해당하는 경우 위, 대장 내시경 시술의 경우는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 수가 산정 방법에 따라 해당 비용을 산정 할 수 있습니다.
관련 근거
보건복지부 고시 제2021-183호(행위) 나799 진정내시경 환자관리료 급여기준 [시행 2021.7.1.]
출처와 기타 정보
자세히 찾아보실 분은 국민소통, 고객의소리, 상담문의, 자주하는 질문, 진료비확인요청 메뉴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의료비의 경우에는 심사기준이 다양하며, 급여와 비급여, 전액본인부담 등 복잡하게 이루어져있다보니 일반인의 경우 쉽게 알아보기 어려운 상황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통해 도움을 받으면 좋겠습니다.
또한 각 병원에 원무팀과 심사팀, 각 담당자를 통해서 먼저 상담받아 보는 방법도 좋습니다.
'알아두기 > 병원 이용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실 응급실 현황(24시간, 토요일, 일요일 진료) (0) | 2023.03.10 |
---|---|
병원 소모품비 과다(소변기, 대변기 등) 청구 (1) | 2023.03.10 |
반월판연골손상 슬관절 MRI 보험(급여)될까요? (1) | 2023.03.10 |
장성 응급실 현황(24시간, 토요일, 일요일 진료) (1) | 2023.03.10 |
수원 응급실 찾아보기 (1) | 2023.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