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관련된 일을 하다 보니 병원에서 각종 의료사고나 의료분쟁 관련된 일을 자주 만나게 됩니다.
우리나라에는 의료분쟁조정중재원이 존재해서 의료사고의 신속한 분쟁해결을 돕고있습니다.
사례 판례, 중재사례를 보면 관련된 일을 겪었을때 도움이 될것 이라 생각되어 연재해봅니다.
의료분쟁 상담은 1670-2545에서 할 수 있습니다.
감정사례와 의료사고 예방 TIP을 공유합니다.
오늘 알아볼 사례는 우측발 종골뼈 골절을 염좌로 오진한 사례입니다.
ㅁ 사건개요
우측발 종골뼈 골절을 발목 인대 염좌로 오진하여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건으로 종골 골절을 진단하지 못하고수술시기를 놓쳐 상태가 악화되었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요구하였음.
ㅁ 치료과정
신청인(남/50대)은 2021년 9월 우측 발목통증으로 피신청인기관에 내원하였고 발목 X-ray 검사 결과 이상소견은 발견되지 않고 전거비인대부위 압통이 있어 발목의 염좌 및 긴장으로 진단되어 단하지 부목 및 약물처방을 받고 귀가함.
같은 달 약 3주 간 신청인은 피신청인의원에 내원하여 약물처방 및 물리치료를 받으며 경과관찰 중 같은 해 10월 ‘발목 완전히 걷지는 못하겠고 발뒤꿈치가 아프다’며 정밀검사를 질의하였고 ‘정밀검사 해보셔도 되지만 별 의미는 없을 듯하다’는 답변을 받아 물리치료 및 약물처방을 받고 귀가하였으며, 1주일 뒤 발목이 나아지지 않는다 하여 의료급여 의뢰서를 발급받음.
같은 달 5일 뒤 신청인은 ○○병원에 내원하여 우측 발목 MRI검사를 받았는데 우측 종골 골절로 진단되었고 □□대학교병원과 병행진료하며 경과관찰 중인 상태로 추후 수술 예정임.
ㅁ 분쟁 쟁점
환자측: 오른발 수상 후 통증으로 피신청인의원에 내원하였는데 종골 골절을 진단하지 못하고 체중부하를 시켜 수술시기를 놓쳐버림. 타병원에서 1년 정도 후 수술 받자고 권유 받은 상태임.
병원측: 최초 내원 시 오진은 인정하나 오진한 이유는 ① 신청인이 통증 부위가 발목이라고 했으며 실제 발목에 압통이 심했고 ② 다친 경위를 묻지 사거리에서 발목이 틀어졌다고 하였으며 ③ 이에 발목 X-ray를 촬영하였고 X-ray 상 발목 골절선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발목 인대 염좌라 진단한 것임. 초진 X-ray와 타원에서 골절 진단 후 찍은 X-ray 비교 시 처음 사진과 6주 후 골절부위가 벌어지거나 어긋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고 변한게 없었음. 그러므로 보행으로 인한 상태 악화는 없었음.
ㅁ 감정의견
가. 과실유무
1. 2021. 9. 진단 및 치료의 적절성
신청인은 2021. 9. 외상 후 우측 발목통증으로 피신청인의원에 내원하여 당일 양측 족관절 X-ray 촬영을 시행함. X-ray상 우측 족부 종골의 관절내 함몰형 골절이 관찰되어 발목의 기타 부분의 염좌 및 긴장이란 진단은 적절하였다고 볼 수 없음. 염좌 진단 하에 시행한 부목 고정 치료도 부적절하였으며 당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었음.
2. 2021. 9. ~ 10. 경과관찰 및 처치의 적절성
이 기간 중 피신청인의원 외래에서 약물치료와 6회에 걸친 물리치료를 시행하였음. 10월 외래 의무기록 상 신청인이 ‘정밀검사를 원했지만 별 의미가 없을 듯’이라고 되어있어 경과관찰 및 처치도 적절하지 못하였다고 사료됨.
나. 인과관계
현재 우측 발뒤꿈치 상태 및 그 원인(종골 골절 진단지연 및 체중부하로 인한 예부변화 여부 포함)
2021. 12. 촬영한 X-ray 상 신청인의 종골 골절은 비수술적 치료 후 약 3개월 경과하였기에 부정유합 된 상태임. 현 상태에서의 체중부하 및 보행은 족관절 외측 및 후족부에 통증을 초래할 수 있으며, 현재로서는 거골하 관절 고정술(subtalar arthrodesis), 종골 외벽 골절제술(lateral calcaneal wall ostectomy)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다. 종합소견
본 건은 종골 골절에 대한 오진(misdiagnosis)과 오진으로 인한 부적절한 치료로 인해 발생하였음. 신청인의 현 상태에 대하여는 수술적 치료(거골하 관절 고정술과 종골 외벽 골절제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ㅁ 참고문헌
1.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8판, 2020, 1915- 1916
2.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8판, 2020, 1918
3. Myerson MI, Quill GE Jr. Late complications of fractures of the calcaneus. J Bone Joint Surg Am. 1993, 75(3):331-341
ㅁ 조정결과
본 건은 조정합의 되었음.
ㅁ 예방 Tip
본 건은 수상 당시 종골부위 X-ray 촬영을 시행하였으나 골절선과 Boehler 각이 감소한 것을 감지하지 못하여 발생한 분쟁 건임. 발목 부위수상 시 반드시 자세한 신체검진과 영상소견 관찰을 통하여 오진과 부적절한 치료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주지하여야 한다고 생각함.
출처는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홈페이지 감정사례와 예방 TIP입니다.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료사고예방>의료분쟁 사례>감정사례와 예방 TIP
감정사례와 예방 TIP
www.k-medi.or.kr
'알아두기 > 의료분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하지 석고 고정 제거 사고(피부 손상) (1) | 2023.02.23 |
---|---|
무리한 도수치료(늑골골절) (0) | 2023.02.23 |
성대마비(경추 추간판 탈출증 수술) (0) | 2023.02.23 |
[신경외과] 뇌동맥류 수술(장폐색, 패혈증) (2) | 2023.02.15 |
[치과] 동의 없는 치아 발치 (1) | 2023.02.15 |
댓글